뷰페이지

포스트 뒤셀도르프 학파, 그들이 렌즈에 담은 일상과 인간

포스트 뒤셀도르프 학파, 그들이 렌즈에 담은 일상과 인간

함혜리 기자
입력 2017-03-26 20:46
업데이트 2017-03-26 21: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곡미술관 獨현대사진전 5월 28일까지

예술사진을 논할 때에 빠질 수 없는 나라가 독일이다.

이미 1920년대부터 예술로서의 사진이 제 목소리를 냈고, 저널리즘적인 감각의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 사진은 독보적이었다.

그 전통을 잇는 대표적인 그룹이 뒤셀도르프 사진학파다.

라이프치히의 그래픽·북아트 아카데미와 함께 전후 독일 현대 예술사진의 메카로 평가받는 뒤셀도르프 예술아카데미의 베른트와 힐라 베허 부부 밑에서 1970년대에 수학한 안드레아스 구르스키, 토마스 슈트루트, 칸디다 회퍼, 토마스 루프 등 쟁쟁한 작가들이 중심이다.
이미지 확대
스위스에서 만난 엘시라는 여성의 복합적 초상을 일련의 컬러사진으로 담아낸 하이디 슈페커의 ‘엘시에 대하여’ 연작 설치 모습. 성곡미술관 제공
스위스에서 만난 엘시라는 여성의 복합적 초상을 일련의 컬러사진으로 담아낸 하이디 슈페커의 ‘엘시에 대하여’ 연작 설치 모습.
성곡미술관 제공
실험적이고 스펙터클한 사진으로 전 세계 예술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으며 현대사진의 흐름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뒤셀도르프 학파 이후 세대는 무엇을 카메라에 담고 있을까. 서울 종로구 신문로 성곡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프레젠테이션/리프레젠테이션: 독일현대사진전’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겠다.

독일국제교류처와 괴테인스티튜트가 공동 주최한 전시는 1990년 통독 이후 유럽 전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50세 전후의 작가 10명의 작품 153점을 한자리에 모아 독일 현대사진의 흐름을 보여 주고 있다.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 미술관에서 첫 번째 대규모 사진전을 기획했던 토마스 베스키가 기획하고 라우렌츠 베르게스(51), 알브레히트 푹스(53), 카린 가이거(51), 클라우스 괴디케(51), 우시 후버(51), 마티아스 코흐(50), 비프케 뢰퍼(45), 니콜라 마이츠너(48), 하이디 슈페커(55), 페터 필러(49)가 참여했다. 출품작들은 2000년 전후에 제작됐으며 디지털 프린트부터 전통적 젤라틴 실버프린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된다.
이미지 확대
마티아스 코흐의 ‘독일의 역사적 장소시리즈’ 중 ‘키일 근교 라보에의 잠수함, 1944년 건조’.  성곡미술관 제공
마티아스 코흐의 ‘독일의 역사적 장소시리즈’ 중 ‘키일 근교 라보에의 잠수함, 1944년 건조’.
성곡미술관 제공
이들은 뒤셀도르프 학파와 같이 특정 소재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분석하는 다큐멘터리 언어를 구사한다. 하지만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작품에 끌어들이거나 사소한 일상과 개인적 감수성을 도입함으로써 훨씬 친근하고 인간적인 작업들을 보여 준다.
이미지 확대
클라우스 괴디케 ‘달로의 여행’.  성곡미술관 제공
클라우스 괴디케 ‘달로의 여행’.
성곡미술관 제공
베르게스는 독일 북서부 루르 지방에서 석탄 채굴이 중단되면서 인구가 감소해 쓸쓸해진 공간들의 이야기를 각 공간을 촬영해 추적해 나간다. 우리의 정체성에 있어 특정 공간의 실존적 의미, 덧없이 사라져 버리는 공간의 상실에 대한 이야기다. 푹스는 유명 인사의 초상사진으로 유명하다. 다만 그의 사진은 촬영 대상의 전형적인 포즈가 아닌 사적인 순간을 포착해 사려 깊고 성찰적인 개인을 그려 낸다. 도시와 지역 사이의 경계를 보여 주는 가이거의 사진은 다큐멘터리인지 연출된 무대인지 확신할 수 없는 모호함으로 다가온다. 괴디케는 디지털 합성으로 인물, 오브제, 풍경사진을 추상적으로 배치해 관람자의 감수성을 고조시킨다.
이미지 확대
알브레히트 푹스의 ‘다니엘 리히터, 베를린’.  성곡미술관 제공
알브레히트 푹스의 ‘다니엘 리히터, 베를린’.
성곡미술관 제공
후버는 예외적 상황에 놓인 도시의 건축물을 보여 준다. 코흐는 소방차의 고공사다리에 올라가 독일 역사에서 의미 있는 광장이나 건물, 장면을 담아 국가적 상징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독일 북구 항구도시 비스마어의 변화를 담은 뢰퍼의 사진은 상실과 희망을 다룬다. 마이츠너가 아시아 대도시의 일상과 풍경을 기록한 사진, 슈페커가 스위스 다보스에서 알게 된 여인의 생활환경을 담은 이미지들은 다분히 문학적 연상을 가능하게 한다. 필러는 언론에 유포된 사진을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본래의 맥락에서 분리해 각자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이미지 확대
페터 필러의 ‘구멍 들여다보기(아카이브 일부)’. 성곡미술관 제공
페터 필러의 ‘구멍 들여다보기(아카이브 일부)’.
성곡미술관 제공
‘프레젠테이션/리프레젠테이션’(제시/재현)이라는 전시 제목대로 현실을 재현하지만 작가의 개인적 해석과 예술적 의도로 한 번 더 가공을 거친 뒤 제시된 이미지들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다. 전시는 5월 28일까지.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7-03-27 2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