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학보다 취업”… 70% 못 미친 진학률

“대학보다 취업”… 70% 못 미친 진학률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03-23 23:04
업데이트 2017-03-24 0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6년 한국의 사회지표

69.8%… 16년 만에 70% 미만
백수 늘면서 대학 교육에 회의적
대졸 임금 7.9%↓ 감소폭 최대
고졸자 취업은 6년새 8%P 증가
2000년 충남 천안의 A사립대에 입학해 2004년 졸업한 김모(36)씨는 ‘캠퍼스의 낭만’이라고 할 만한 추억이 없다. 학교 수업은 주 2~3일로 몰아넣고 2학년 때부터 서울 노량진 고시촌에서 9급 공무원 시험에 매달렸다. 2007년 지방공무원 시험에 합격했다. 시간으로는 7년, 대학등록금과 학원비를 합쳐 돈으로는 약 7000만원을 낭비했다고 김씨는 후회한다. 그는 “변변치 않은 대학 졸업장에 연연하지 않고 고등학교만 나와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편이 훨씬 나았을 것”이라면서 “올해 초등학교에 들어간 딸은 원치 않으면 굳이 대학에 보내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높은 교육열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인 대학 진학률이 16년 만에 70% 아래로 떨어졌다. 대학 졸업장이 번듯한 직장을 보장해주던 시절이 끝나고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청년 백수’가 늘어나면서 대학 교육을 회의적으로 보는 사람이 늘었다는 뜻이다. 대졸 구직자는 많은데 양질의 일자리는 부족하다 보니 노동시장에서는 대졸자가 받는 임금이 고졸자 등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16년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고교 졸업자 60만 7598명 가운데 69.8%(42만 3997명)가 대학에 진학했다. 대학 진학률이 70%를 밑돈 것은 2000년(68.0%) 이후 처음이다.

1980년 27.2%로 낮았던 진학률은 1990~2005년 50% 포인트 가까이 크게 상승해 2008년 83.8%로 최고치를 찍은 뒤 점차 감소하고 있다.

윤연옥 통계청 사회통계기획과장은 “마이스터고 등 직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정책이 활성화되면서 고졸자 취업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고교 졸업자의 취업률은 지난해 33.9%로 2010년(25.9%)보다 8.0% 포인트 증가했다. 특성화고뿐 아니라 일반고에서도 취업자가 늘고 있다.

지난해 특성화고 출신 취업자는 4만 6756만명으로 2011년보다 57.1% 늘었는데, 같은 기간 일반고 출신 취업자(지난해 9623명)는 106.2%나 늘었다.

박윤수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대학이 상대적으로 고교에 비해 취업 성과가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대학 진학 대신 취업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노동시장에서도 ‘대졸 메리트’가 사라지고 있다. 통계청 사회지표에 수록된 ‘교육수준별 임금수준’을 보면 2015년 대졸의 시간당 임금은 1만 7201원으로 전년(1만 8669원)보다 7.9% 감소했다. 대졸 임금이 감소한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대졸 임금 감소폭은 전문대졸(-6.7%), 고졸(-5.5%), 중졸 이하(-3.9%), 대학원졸(-2.8%)보다 컸다.

박 연구위원은 “대졸 구직자는 많은데 이들이 갈 수 있는 일자리가 부족하다 보니 노동시장의 수요 공급에 따라 임금이 낮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3-24 1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