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친미파 친중파가 해야 할 일/이창구 베이징 특파원

[특파원 칼럼] 친미파 친중파가 해야 할 일/이창구 베이징 특파원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7-03-19 17:54
업데이트 2017-03-19 18: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창구 베이징 특파원
이창구 베이징 특파원
며칠 전 헬스클럽에 갔다. 건장한 중국 남성 다섯 명이 운동하면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를 놓고 토론하고 있었다. 2년 동안 다닌 곳이라 낯익은 얼굴들이었다. 몸에 문신한 남성이 나를 보자 “이참에 한국을 제대로 다뤄야 한다”며 핏대를 올렸다. 시끄럽기도 하고 무섭기도 해 자리를 떴다.

눈치 보며 사는 것보다 더 서러운 건 종종 ‘빨갱이’로 몰린다는 사실이다. 중국 특파원 특성상 중국의 주장을 소개하는 기사를 많이 쓰는데 그때마다 “중국 편드는 넌 빨갱이”라는 댓글이 달린다. 중국의 치졸한 사드 보복에 울분을 토해내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얼마 전까지만 해도 “중국으로 진출하자”고 외치던 소위 친중파들이 “사드 반대를 주도하는 친중파는 종북세력”이라고 주장하는 모습을 보면 측은함마저 든다.

이런 분위기는 베이징 외교가에서도 느낄 수 있다. 중국과 관계가 좋던 ‘차이나 스쿨’(중국통 외교관)들이 사드 문제가 불거진 이후 강경 반중파로 변신했다. 중국의 비이성적 태도에 실망한 측면도 있겠지만 청와대, 외교부, 김장수 주중 한국대사의 사드 배치 드라이브에 보조를 맞출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차이나 스쿨’의 사상 전향은 우리 외교가 ‘친미 단일대오’를 형성했음을 의미한다. 물론 일사불란한 외교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이런 흐름이 한·중 관계를 더 악화시킨 측면이 있다.

특히 주중 한국대사관은 한·중 충돌의 완충지대로서 중국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중국을 이해하는 척이라도 하면서 중국의 분노를 가라앉히는 역할을 해야 했다. 대사를 비롯한 외교관의 임무는 주재국과 당당하게 싸우는 게 아니라 주재국의 비위를 맞춰 본국으로 향하는 예봉을 무디게 하는 데 있다.

냉정하게 보면 북한 핵 문제와 사드 갈등에서 우리가 주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는 없다. 대북 제재의 모든 카드는 중국이 쥐고 있다. 북한산 석탄 수입량을 죄거나 푸는 것도 중국이고 북한의 생명줄인 원유 송유관을 잠그는 것도 중국이 결정할 일이다. 반대로 제재를 풀 수 있는 카드는 모두 미국이 쥐고 있다. 한·미 군사훈련을 중단하는 것도 북·미 협상에 나서는 것도,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는 것도 모두 미국이 결심할 사안이다.

만일 미국과 중국이 쥔 카드가 서로 바뀌었다면 우리의 대응도 쉬웠을 것이다. 미국에 대북 제재를 강화해 달라고 하면 당연히 강화해 줬을 것이고 중국한테 북한과 대화에 나서라고 요구하면 중국이 마다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은 애석하게도 정반대다. 미국은 군사적 타격까지 고려하고 있고, 중국은 북한 붕괴를 절대 용인하지 않으려 한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을 활용해 한반도의 전쟁 가능성을 낮추려면 친미파와 친중파의 역할이 바뀌어야 한다. 미국을 알고 미국과 친한 이들은 미국에 북한을 타격해 달라고 애원할 게 아니라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하라고 주문해야 한다.

북한과의 관계 개선 요구를 친중파나 반미파가 하면 미국은 저의를 의심할 게 뻔하다. 반대로 친중파는 지금처럼 납작 엎드려 있지 말고 중국에 한·미 동맹의 특수성을 끈질기게 설명해야 한다. 친미파가 외치는 한·미 동맹은 중국의 불신만 높인다. 미국이 북한과 대화할 생각을 품지 않고 중국이 한·미 동맹을 적대적 위협으로 간주하는 한 우린 전쟁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window2@seoul.co.kr
2017-03-20 2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