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中 어제부터 한국 여행 금지령, 저자세는 안 돼

[사설] 中 어제부터 한국 여행 금지령, 저자세는 안 돼

입력 2017-03-15 22:34
업데이트 2017-03-16 00: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제부터 중국 정부의 한국 관광상품 판매 금지령이 적용됐다. 주한미군 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반발해 온 중국이 본격적인 보복 조치에 나선 것이다. 지난해부터 관광객 축소 움직임이 있었지만 최근 중국인 단체 관광객들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공항과 항구, 면세점, 병원 등 관광객들이 주로 찾는 곳의 관련 매출액 감소가 피부로 느낄 정도라고 한다.

중국 정부는 지난 2일 구두 지시로 자국 여행사들에 한국 관광 상품을 판매하지 못하도록 했다. 중국의 관광 상품 판매 금지로 인해 올해 중국 관광객이 3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업계는 관측한다. 중국 정부가 앞장서는 대신 관영 언론들이 주도하고 민간이 호응하는 방식의 ‘불매 운동’인 것이다. 민간 기업의 결정으로 위장해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피하면서도 한국 경제에 타격을 주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더욱이 ‘중국 소비자의 날’(3월 15일)에 맞춰 관광 금지령을 내린 것은 앞으로 많은 한국 상품을 블랙리스트에 올리겠다는 계산이다. 성주 골프장을 사드 부지로 제공한 롯데도 혹독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 중국 내 99개 롯데마트 매장 가운데 절반 이상(57%)이 영업정지 등을 당해 문을 닫았다.

다행스러운 것은 제주를 비롯한 국내에는 홍콩, 대만 등 비중국 중화권과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의 여행객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1월 이들 국가의 여행객은 122만 695명으로 지난해 1월보다 13.3% 늘었다. 우리가 중장기적으로 중국 시장의 힘을 줄이기 위해 교역과 관광 루트를 다변화하는 방안에 착수해야 하는 이유다.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를 외치면서도 북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대북 제재엔 미온적이다. 북핵 미사일 도발을 막겠다는 사드 배치에 대해 경제 보복에 나서는 것은 분명히 이중적인 태도다. 그럼에도 중국은 지속적으로 경제적 파워와 시장의 힘을 토대로 패권 외교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우리는 즉흥적이고 감성적인 대응보다는 냉정하고 전략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북핵이나 사드 문제가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고 국제적 성격의 사안인 만큼 미국 등 우방국 외교 라인과의 협력 시스템을 가동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국에 저자세로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우리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 줘야 한다.
2017-03-16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