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 역사를 바꾼 주당들의 술버릇

日 역사를 바꾼 주당들의 술버릇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7-02-24 22:42
업데이트 2017-02-25 0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술로 풀어보는 일본사/와카모리 타로 지음/이세연 외 2명 옮김/이상/444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모주꾼이든 아니든, 술에 관한 한 누구나 저마다의 ‘역사’를 하나둘쯤 갖고 있게 마련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특히 유명인들에게서 술과 관련된 다양한 일화들이 전해 온다. 이런 현상이 일본이라고 다르랴. ‘사케의 나라’ 일본 역시 술과 관련된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을 게 분명하다. 새 책 ‘술로 풀어보는 일본사’는 바로 이런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일본의 술꾼과 취흥에 대해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차분하게 살피고 있다. 저자 역시 술을 마다하는 이가 아니다. 당연히 책의 전반적인 흐름 또한 술에 호의적이다.

센고쿠 시대의 패자였던 오다 노부나가는 적장의 수급을 안주 삼아 술을 마셨을 만큼 술을 즐겼다. 그는 걸핏하면 자신의 주변인들에게도 술을 강권했다. 술에 약한 자신의 오른팔 미쓰히데에게 “칼을 받겠나, 술잔을 받겠나”라며 윽박지를 정도였다. 결국 둘 사이는 멀어졌고, 훗날 미쓰히데의 배신으로 오다 노부나가는 최후를 맞게 된다.

임진왜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모주꾼은 아니었지만 술을 멀리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술을 이용했던 축에 속했다. 그가 머물던 오사카 성의 법규인 ‘벽서’에 ‘술은 근기(根器)에 따른다’는 조항이 있다. 마실 수 있는 자는 그에 맞춰 마시되 못 마시는 자가 굳이 인간관계상 술을 마셔 취하지는 말라는 뜻이다. 오늘에도 적용될 만한 조항이지 싶다. 반면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몹시 술에 엄했다. 이런 도쿠가와를 두고 저자는 “술의 진정한 맛을 느끼지 못한 채 생을 마감했다”며 혀를 차고 있다.

메이지 일왕은 대를 이은 술꾼으로 유명하다. 그의 선친 고메이 일왕은 매일 밤 술을 마셨는데, 그때마다 합석했던 이가 메이지 일왕의 어머니 나카야마 요시코였다. 우리에게 귀 익은 이토 히로부미도 술을 즐겼다. 메이지 당시 거물 중 거물이었던 그는 술과 유흥에서도 걸출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술과 함께 천하의 정세를 입 밖에 내는 버릇이 있는데다, 여성에 대한 폄하가 심해 그에 대한 호불호는 꽤 엇갈렸다고 한다.

풍족한 시기엔 퇴폐가 극성을 부리기 마련이다. 특히 ‘에도의 향락시대’라 일컬어지는 1804~1830년에 특이한 일들이 많았다. 술 많이 마시기 대회 같은 황당한 이벤트가 열리기도 했다. 반면 퇴폐가 새로운 문화를 낳기도 했다. 덴푸라(튀김)와 가바야키(양념 바른 장어 따위를 구운 요리), 덮밥류, 초밥 등이 술과 함께 태어나 유행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02-25 1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