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동창회비 장부관리 앱 하나면 OK… 은행 공동 오픈플랫폼 덕분이지만…

동창회비 장부관리 앱 하나면 OK… 은행 공동 오픈플랫폼 덕분이지만…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7-02-19 22:20
업데이트 2017-02-19 2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각 은행 데이터 모은 ‘설계도면’ 가동 반년 만에 새달 첫 서비스

대학 동창회 총무를 맡고 있는 A씨는 매달 통장 잔고를 확인하며 일일이 미납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 파일을 만들어 사용 내역을 공지한다. 수십 명이나 되는 회원들의 입출 내역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A씨 같은 전국 동창회 총무들의 부담이 한층 줄어들 전망이다. 모바일 커뮤니티에서 총무가 관리하는 계좌 내역을 회원들이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앱이 나오기 때문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API)을 활용해 만든 첫 핀테크 서비스(동창회비 계좌조회 서비스)가 다음달 출시될 예정이다. API는 은행에서 이용하는 각종 업무 시스템의 구조나 데이터를 보여 주는 일종의 설계도면이다. 핀테크 기업들은 이 설계도면을 보고 소비자들이 더 편리한 금융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국내 시중은행 16곳은 지난해 8월 핀테크 활성화를 위해 정부 주도하에 이 설계도면의 일부를 오픈했다.

핀테크 기업들은 은행권 공통 설계도면을 통해 일일이 개별 은행에 접촉하지 않고도 잔액 조회, 거래 내역 조회, 계좌 실명 조회, 출금 이체, 입금 이체 등 5가지 데이터를 16개 은행으로부터 동시에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제한된 정보 탓에 공동 플랫폼만으로는 핀테크 서비스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핀테크 기업 대표는 “공동 플랫폼은 지급 결제나 해외 송금 등에 필요한 기본적인 데이터를 얻는 데는 유용하지만 더욱 심화된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면서 “은행과 지속적인 거래를 트기 위해서도 결국엔 개별 은행들을 일일이 접촉하는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은행들도 많은 비용을 들여 공동 플랫폼을 유지, 개발하는 데 다소 회의적이다. 한 은행권 고위 관계자는 “정부 주도하의 공동 플랫폼은 개별 은행 입장에서 정보를 확대하거나 투자할 만한 유인책이 없기 때문에 형식에 그치는 면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 시중은행 가운데 개별적으로 플랫폼을 구축해 개방한 곳은 농협은행과 신한은행 두 곳으로 공동 플랫폼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60여 가지의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한다.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도 핀테크 기업들에 플랫폼을 개방한다는 계획이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 관계자는 “공동 플랫폼은 모든 은행을 한번에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데이터의 양이나 보안 면에서 한계가 있다”면서 “개별 은행들이 자체적인 전략에 따라 플랫폼을 개방하면 더욱 경쟁력 있는 서비스들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필요에 따라 개방 수수료 현실화도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02-20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