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읍 농가 구제역 항체 5% 불과… 구멍난 방역

정읍 농가 구제역 항체 5% 불과… 구멍난 방역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02-07 22:38
업데이트 2017-02-08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 소 0.83%만 조사한 정부 “항체 형성률 95%” 방역 자신

농가 ‘유산 속설’에 접종도 꺼려… 정읍 일대 174마리 살처분

올 들어 두 번째 구제역이 발생한 전북 정읍 한우 농가의 소 20마리 가운데 1마리만 구제역 항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백신 의무접종이 제대로 안 됐다는 뜻이다. “국내 소의 95% 이상이 항체를 갖고 있어 구제역의 전국 확산 가능성은 작을 것”이라던 정부의 주장도 설득력을 잃었다. 전국에서 키우는 소의 0.83%만 뽑아 항체 형성 여부를 조사하는 탓에 구제역 방역 체계에 구멍이 뚫린 것을 당국이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던 셈이다.
이미지 확대
충북 보은과 전북 정읍에서 잇따라 발생한 구제역으로 전국에 가축 이동제한 명령이 내려진 7일 충남 서산시 예천동 우시장이 임시 휴장한 채 텅 비어 있다. 서산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충북 보은과 전북 정읍에서 잇따라 발생한 구제역으로 전국에 가축 이동제한 명령이 내려진 7일 충남 서산시 예천동 우시장이 임시 휴장한 채 텅 비어 있다.
서산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날 구제역 최종 확진 판정을 받은 정읍 한우 농가의 49마리 가운데 20마리의 혈액을 채취해 조사한 결과 5%에 해당하는 1마리에서만 항체가 발견됐다. 지난 5일 구제역이 발생한 충북 보은 젖소농가(20%)보다도 낮은 비율이다. 소는 예방주사만 맞으면 항체가 99% 이상 생겨 구제역을 이겨낼 수 있다는 정부 주장을 근거로 보면 백신 접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 확실시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정읍 구제역 농가는 지난해 8월 26일 마지막으로 백신 접종을 한 기록이 있으나 접종수칙을 따르지 않아 백신 효능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기름 성분을 포함한 구제역 백신은 냉장 보관했다가 꺼내어 상온(18도)으로 맞춘 뒤 가축에 접종해야 약효가 제대로 나타난다. 방역당국은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정읍 구제역 농가 일대 5개 한우 농가 340마리 가운데 174마리를 살처분했다.

정읍 농가의 항체 형성률이 5%로 나오자 방역당국은 충격에 휩싸였다. 정부가 지난해 파악한 전국 한우·젖소 농가의 구제역 항체 형성률은 95.6%였다. 정읍과 보은이 속한 전북과 충북은 각각 96.6%와 97.8%로 나왔다. 서류와 실태의 괴리가 20배 가까이 벌어진 까닭은 표본조사의 함정 때문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국내에서 사육되는 소 330만 마리 가운데 0.83%인 2만 7432마리를 대상으로 항체 형성률을 조사했다. 농가의 사육 규모에 비례해 표본을 뽑지 않고 100마리를 키우든 1000마리를 키우든 무조건 1마리만 골라 채혈 검사했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구제역 검사 인력이 발생 빈도가 높은 돼지에 집중됐던 것이 사실”이라면서 “올해부터 농가당 최소 5마리 이상을 표본으로 뽑아 항체 형성률 조사의 신뢰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표본 농가도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선정하는 방식이어서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표본에 속하지 않는 대부분 농가의 항체 형성 여부를 알 길이 없다는 점도 문제다. 한우협회 등 생산자단체에 따르면 구제역 백신을 맞을 경우 젖소의 착유량이 감소하고 어미 소의 유산 가능성이 커진다는 근거 없는 풍문 때문에 백신 접종을 일부러 하지 않는 농가가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백신의 함정’에서 벗어나겠다는 입장이다. 직접 조사한 항체 형성률을 믿지 않고 8일부터 전국의 모든 소·돼지 농가를 대상으로 긴급 백신 접종에 나설 계획이다. 백신을 주사하면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1주일이 걸린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구제역이 발생할 경우 피해 규모가 큰 50마리 이상 대규모 농가를 우선 접종 대상으로 정하고 수의사 등 제3자 입회하에 정확한 접종을 지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2-08 1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