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농단, 그리고 경평 정기전 부활/송한수 체육부장

[데스크 시각] 농단, 그리고 경평 정기전 부활/송한수 체육부장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입력 2017-01-30 18:02
업데이트 2017-01-30 19: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송한수 부국장 겸 사회2부장
송한수 부국장 겸 사회2부장
엊그제 설날 하루를 겨우 버텼다. 피붙이들과 음복을 하며 그랬다. 속으론 피눈물을 흘리고 또 흘렸다. 북녘 고향에 두고 온 피붙이 생각에. 거칠고 기다란 한숨도 내리 몰아친다. 명절엔 늘 그늘이 짙어진다. 이웃 ‘고수레’ 소리, ‘아버지’ 소리, ‘어머니’ 소리에. 일평생 축구 하나로 굳게 버텼거늘. 거짓말 같은 세월이었다. 이젠 어언 팔순이다.

P감독 얘기다. 유니폼에 ‘평양 축구단’을 달고 이따금씩 뛴다. 북한에 고향을 둔 이들, 그 2세들과 섞인다. 여기에선 축구가 스포츠를, 분단을 훌쩍 뛰어넘는다. 정치와 이념을 잠재운다. 시간을 거슬러 맑디맑던 때로 돌아간다.

때마침 여자축구 국가대표들이 올봄 평양에서 북한과 경기를 치른다. 4월 7일. P씨를 또 설레게 함직하다. 아시안컵 예선, 김일성경기장이 무대다. 더구나 B조 전체 일정을 이곳에서 소화한다. 남과 북은 지난해 2월 일본 오사카에서 만나 1대1로 사이좋게 비겼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축구 여자부 예선이었다. 가장 최근에 벌어진 남북 맞대결이다.

아무튼 따뜻한 소식이 들린다. 방북 가능성에 제법 무게가 실린다. 축구인들이 반길 만하다. 더욱이 스포츠를 떠나 환영하지 않을 수 없다. 다른 사정에 의해 문화 영역에 빗금이 쳐지진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참에 서울과 평양을 잇는 축구 정기전도 부활하면 좋겠다. 지방자치단체와 체육계 숙원이기도 하다. P씨와 같은 입장에선 더할 나위도 없다. ‘경평(京平) 축구’를 가리킨다. 원래 두 도시끼리 대결 그 이상이었다. 일제강점기 민족을 아우르다 1946년 마지막을 장식한 빅이벤트다. 꼭 70년이나 끊긴 것이다. 명맥을 제대로 지켰다면 서울 축구단은 올해, 평양 축구단은 내년 100돌을 맞는다. 분단의 생채기가 새삼 돋아나는 대목이다.

경평 정기전 부활을 마치 야권의 전통적인 주장으로 다루는 것은 곤란하다. ‘평양’ 두 글자 탓이다. 방북을 거론하는 움직임 자체를 금기시하지 말자는 이야기다. 스포츠 행사를 놓고 정치적으로 접근하면 위험하다. 또한 오래 이어질 수도 없다. 두 도시를 겨우 한 차례씩 오갔던 1990년 남북 통일축구는 좋은 사례다. 당시 고위급 회담과 연계됐다. 이듬해 국제축구연맹(FIFA) 대회를 맞아 20세 이하 청소년 팀을 남북한 공동으로 꾸렸다. 그렇지만 그것으로 끝이었다. 정치적 간섭을 배제한다는 스포츠 제1원칙엔 아랑곳없이 선전에 이용한 셈이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후보와 공약이 쏟아진다. 이참에 모든 방향에서 나라를 일으켜 세워야 한다고 외친다. 대통령 탄핵 정국을 뛰어넘는 무언가를 이뤄야 한단다. 역시 화두는 ‘국정 농단’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번 설 연휴에도 그랬다.

사실 농단에 가장 큰 상처를 받은 게 체육계다. 불행하지만 역사적으로 봐도 그렇다. 제자리를 되찾도록 도와야 할 첫째 분야로 손꼽힌다. 스포츠를 진정 거래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면, 이념적 계산을 접고 ‘통 큰 결단’을 내려야 한다. 서울~평양을 연결하는 스포츠 우정으로 민족을 확인하려는 걸 이념으로 가른다면 다른 뭔가에 ‘농단’을 당하는 꼴이다. P감독처럼 핏줄을 보듬으려는 마음을 가엾게 여길 일이건만. 나아가 스포츠가 바람직한 나라를 선도할 수도 있다. 여전히 후진적인 정치를 대신해서 말이다. 경평 정기전 부활을 기대하는 까닭이다. 선거 공약으로 내세우면 어떨까. 헛된 것만은 아닐 듯하다.

‘작은 변화’가 ‘큰 차이’를 낳는다. 거대 담론이 결코 아니다.

onekor@seoul.co.kr
2017-01-31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