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In&Out] 서울브랜드 I·SEOUL·U 성과와 과제/김민기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서울브랜드위원장

[In&Out] 서울브랜드 I·SEOUL·U 성과와 과제/김민기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서울브랜드위원장

입력 2016-12-25 22:30
업데이트 2016-12-25 2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민기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서울브랜드위원장
김민기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서울브랜드위원장
지난해 10월 28일, 13만 7416명의 시민이 참여해서 I·SEOUL·U가 서울의 브랜드로 선정됐다. 그리고 지난 5월 시의회의 조례 개정을 통해 I·SEOUL·U가 공식으로 인정을 받았고 이어 서울브랜드위원회와 I·SEOUL·U 프렌즈가 출범하면서 여러 가지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서울브랜드 광고와 서울시 축제를 통한 마케팅, 그리고 ‘서울브랜드 1주년 기념 주간’ 행사를 통해 시민들과 함께 소통하면서 ‘시민이 함께 만들고, 시민이 함께 키워 나가는 시민브랜드‘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었다.

그러는 동안 8월에는 독일의 Red Dot Award, 12월에는 미국의 Good Design Award, 매일경제의 스타브랜드대상, 한국디자인기업협회의 IT Award 시각디자인부문 대상 등 나라 안팎에서 상을 받아 I·SEOUL·U의 탁월함을 인정받았다. 조사에 의하면 출범 1년 만에 서울시민에게서 63%의 인지도와 53%의 호감도를 확보한 것은 한정된 자원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공공 브랜드로서 고무적인 성과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I·SEOUL·U가 만들어낸 작은 성과에 만족해서는 안 된다. 지금의 성과는 탄생 과정에서의 좋은 취지와 파격적인 노이즈 마케팅 덕분이었을 것이고, 본격적인 I·SEOUL·U의 시험 무대는 지금부터 시작될 것이다. 서울은 세계 10위권의 경제력을 자랑하는 대한민국의 수도이다. 이러한 지위에는 다양한 책임과 역할이 따른다. 세계적인 도시들과의 경쟁에서 어떤 성과와 평가를 얻을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 따라서 이제는 도쿄, 베이징 등의 동아시아 도시들은 물론 뉴욕이나 파리와 같은 서구의 도시들과도 도시 마케팅에 있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도시의 매력을 이루는 어트랙션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역사유적, 유명인사와 풍물, 상업시설과 문화시설, 엔터테인먼트와 이벤트 등을 꼽는다. 도시의 경쟁력은 이러한 즐거운 만남이 있는 매력 가치가 얼마나 되는가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이 매력 차원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살기 좋은 도시 즉 거주 차원의 평가와 성공하고 성장할 기회가 많은 도시 즉 기회 차원이다. 서울시의 정책이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실체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라면, 서울브랜드는 그 평가지표를 제고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한 평가지표를 높여 나가기 위해, 살기 좋은 서울을 만들기 위한 담론과 참여의 장으로서 서울 브랜드 서포터스, 서울의 강점들을 엮어내어 다양한 성장과 기회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서울브랜드 파트너스, 서울의 매력 요소를 품격 있게 알려 즐거운 공존과 만남의 장을 만드는 서울브랜드 프렌즈 등 서울브랜드의 세 플랫폼이 삼위일체가 되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려 한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서울브랜드 체계를 정립해 나가고 있는데, 앞으로 3년간 틀을 닦고 나면 매력 차원, 거주 차원, 기회 차원의 평가지표를 세계 주요도시 못지않은 수준으로 높여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일 년이 지난 I·SEOUL·U가 앞으로 어떻게 성장해 갈 것인지에 대한 기대가 크다. 서울브랜드 I·SEOUL·U의 가장 큰 특성이자 장점은 ‘시민이 함께 만들고 시민이 함께 키워 나가는 시민브랜드’라는 데 있다. 많은 시민과 참여자들이 서로 협력하고 때로는 경쟁하면서 I·SEOUL·U의 가치를 창출하면 결국 시민 모두의 공유 이익으로 환원될 것이라는 점에서, 시민들의 더욱 뜨거운 관심과 참여가 중요한 시점이다.
2016-12-26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