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사’와 ‘자’와 ‘장이’, 그리고 ‘쟁이’

[말빛 발견] ‘사’와 ‘자’와 ‘장이’, 그리고 ‘쟁이’

이경우 기자
입력 2016-12-14 23:04
업데이트 2016-12-15 00: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師)는 뒤에 붙을 때 ‘그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더한다. 요리사, 간호사, 사진사, 전도사 같은 말의 ‘사’가 다 그렇다. 한자가 다른 ‘사’(士)도 비슷한 구실을 한다. 변호사, 세무사, 회계사, 조종사 같은 말에서 보인다. ‘자’(者)도 ‘사람’의 뜻을 더하긴 마찬가지다. 과학자, 교육자, 노동자, 기술자, 연기자의 ‘자’가 모두 ‘사람’이라는 의미를 덧붙인다.

또 있다. ‘장이’도 ‘사람’이라는 의미를 보탠다. 옹기장이, 칠장이, 대장장이, 간판장이, 미장이 같은 말들이 있다. 한데 이들은 모두 ‘기술’을 가졌다. 앞의 말과 관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을 뜻한다. 본래 가진 말뜻 자체도 그렇다. ‘장인’, ‘기술자’를 뜻하는 ‘장’(匠)에 ‘사람’을 가리키는 ‘이’가 붙어서 만들어졌다.

‘장이’의 이러한 뜻을 다르게 받아들이는 사람은 찾기 어렵다. 그렇지만 발음은 적힌 대로 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다. [장이]라 하지 않고 [쟁이]라고 한다. 뒤에 있는 ‘이’의 영향을 받은 결과다. 꼬챙이, 냄비, 신출내기 같은 단어들도 그래서 변했다. ‘장이’도 바뀔 뻔했다. 1988년 표준어 규정을 바꾸는 과정에서 ‘쟁이’로 가자는 의견이 많았으나, 논란 끝에 둘로 나뉘었다. ‘장인’의 뜻이 살아 있는 말은 ‘장이’, 그 외는 ‘쟁이’가 됐다.

글쟁이, 그림쟁이, 멋쟁이, 겁쟁이, 수다쟁이…. ‘쟁이’는 ‘그러한 특성을 가진 사람’과 ‘낮잡아 이르는’ 뜻을 더한다. 자신에게 ‘월급쟁이’라고 하면 겸손이 되지만, 남에게 그러면 실례가 될 수 있다.

이경우 어문팀장 wlee@seoul.co.kr
2016-12-15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