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공론은 어떻게 생성되는가/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열린세상] 공론은 어떻게 생성되는가/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입력 2016-12-07 18:36
업데이트 2016-12-07 18: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1792년(정조 16) 윤 4월 어느 날 봉화 삼계서원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삼계서원은 1601년부터 사당인 충정공사(忠定公祠)에 충재 권벌의 위패를 모시고 지역의 인재들이 모여 성리학을 탐구하는 명문사학이다. 닭실마을 쪽에서 내려오는 시냇물 소리가 들릴 듯 조용한 이 서원에 유생들이 속속 모여들고 논의는 심각해진다. 한양의 성균관에서 공부하는 이 지역 출신 선비가 한 통의 통지문, 곧 통문(通文)을 보내왔기 때문이다.

그 통문은 뒤주에 갇혀 억울하게 죽은 사도세자의 원한을 풀어 주기 위해 상소문을 올리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얼마 전 유성한(柳星漢)이 왕이 경연은 안 하고 음악과 여자만 즐기고 있다며 정조를 정면으로 비판하는 소(疏)를 올렸는데 그 속엔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고 간 이른바 임오의리(壬午義理)를 두둔하는 불순한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기 때문에 집단적으로 의사 표시를 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 통문을 받아든 삼계서원의 유생들은 영남 지역에 거주하는 선비들의 서명을 최대한 많이 받아 상소를 올리기로 했다. 그때까지 천여명이 연명한 상소는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 열 배는 돼야 임금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지금처럼 사람들이 도시에 모여 사는 것이 아니고 산기슭에 흩어져 있는 마을들에 거주했기 때문이다. 짧은 시간에 향촌에 흩어져 살고 있는 유생들에게 연락을 취해 동의를 이끌어 내고 만명이라는 어마어마한 수의 서명을 받는 일이 과연 가능할 것인가?

많은 이들이 참여하는 상소를 준비할 때는 상소의 대표자, 곧 소두(疏頭)를 정하는 일이 가장 급하다. 소두는 상소에 대한 책임을 지는 자리로 임금이 상소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엄한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그래서 소두는 소정의 절차를 거쳐 신중하게 선출해야 마땅하나 이번에는 사안이 워낙 시급하므로 학문과 기개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던 이우(李?)를 추천해 임명했다. 이우는 즉시 몇몇의 임원을 선발해 서원 안에 소청, 곧 사무소를 차렸다. 그리고 안동, 순흥 등지의 서원들에 통문을 돌려 며칠 내로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의 서명을 받아 제출하도록 촉구했다.

그달 17일 이우 일행은 상소할 내용을 담은 소본(疏本)과 여러 서원을 통해 취합한 연명부를 넣은 붉은 궤짝을 붉은 비단보자기에 싸서 한양으로 향했다. 23일 한양에 도착해서 연명부를 정리하니 서명한 이가 1만 57명이나 됐다. 명실상부한 만인소(萬人疏)가 탄생한 것이다. 세로로 한 줄에 한 명의 이름을 적어 나열하니 연명부의 길이가 99m에 이르렀다. 이 역사상 첫 만인소는 그달 27일 승정원을 통해 정조에게 전달됐다.

이 역사 이야기에서 놀라지 않을 수 없는 것은 ‘만’이라는 숫자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삽시간에 정보가 교류되는 오늘날에도 쉽지 않은 일일 텐데 당시에 만명이나 되는 많은 사람의 의견을, 그것도 한 달도 안 되는 시간에 어떻게 모았을까? 만인소가 가능했던 것은 당시 지방이 서원을 중심으로 의사 소통의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었기 때문이다. 롤모델이 되는 학자를 사당에 모시고 함께 기숙하며 성리학을 공부하는 사학(私學)인 서원은 단순한 학교가 아니라 지역사회 공론 형성의 거점 역할을 했다.

그리고 지역의 서원들은 통문이라 불리는 통신망으로 하나로 엮여 있었다. 짧은 시간에 만명이 넘는 지식인의 의견을 모아 정부에 전달해 정치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던 만인소에서 우리는 많은 사람의 공통된 의견, 곧 공론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거점과 통신망이다.

만인소가 있었던 18세기 말, 19세기에 공론 생성의 거점이 서원이라면 오늘날 도시 사회에서 그것은 광장이다. 서원은 유생들만의 공간이었고 광장은 시민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이다. 거점 공간의 변화와 함께 공론의 주체가 성리학을 공부하는 유생에서 일반 시민으로 바뀌었다. 그사이 공론 생성의 또 한 조건인 통신망은 통문에서 SNS로 진화했다. 200여년 만에 모든 것이 바뀌었지만 거점과 통신망이라는 공론 생성의 조건은 변함없다.
2016-12-08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