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론] 한한류로부터 얻어야 할 것들/박기수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시론] 한한류로부터 얻어야 할 것들/박기수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입력 2016-12-05 22:48
업데이트 2016-12-06 0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기수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박기수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한한류’(限韓流)는 이미 시작됐다. ‘한한령’(限韓令·중국 내 한류 콘텐츠 금지령)으로 인한 한류 콘텐츠 관련 기업의 주가 급락이 화제가 되고 있지만 한한류는 그 이전부터 예견됐고 예측했어야만 했다.

한한류는 명분상으로는 한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에 따른 중국의 경고이자 위협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자국 문화 보호와 문화 콘텐츠의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다양한 포석으로서의 의미가 담겨 있다. 한한령 이전에도 스크린쿼터로 외국 영화는 한 해 30편만 개봉할 수 있고, 해외 드라마는 반드시 심의 통과 필증을 받아야 하며, 골든타임에 외국 판권을 수입해 리메이크한 프로그램은 일 년에 두 편을 초과할 수 없다는 등 외국 콘텐츠에 대한 규제를 꾸준히 강화해 왔기 때문이다.

공식 문건은 없었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의 한한령은 한국 단체의 중국 내 연출 금지, 신규 한국 연예 기획사에 대한 투자 금지, 1만명 이상을 동원하는 한국 아이돌의 공연 금지, 한국 드라마·예능 협력 프로젝트 체결 금지, 한국 연예인이 출연하는 드라마의 중국 내 송출 금지 등이다. 진위나 강도가 어찌 됐든 한류 콘텐츠 수출의 40%를 차지하는 중국 시장에서의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우리 문화 콘텐츠 시장에 들어와 있는 2조 9000억원의 차이나머니를 고려할 때 투자 금지 조항은 더욱 뼈아플 것으로 보인다.

이제 남은 문제는 한한류의 진위 확인이 아니라 그것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다. 명분상 한한류는 정치, 외교, 안보, 경제가 종합적으로 맞물린 일이니 정부 차원에서 매우 치밀하고 전향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다. 하지만 정부가 사드 배치에 대한 의견을 국민에게 물은 적이 없었던 것처럼 한한류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를 할 의향도 없고 할 수도 없을 것이다. 중국 역시 한한류를 공식 문건화하지 않은 이유는 국제 간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판단일 테고, 우리 정부 역시 대중국 외교, 안보, 경제 문제의 우선 순위를 고려할 때 한한류의 문제가 최우선 선결 과제가 아님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류의 시작이 그러했듯이 한류 콘텐츠 업계 스스로 타개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류 콘텐츠의 중국 시장 편중을 개선한다거나, 지상파 채널이나 위성 채널을 넘어서는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을 확보한다거나, 공식·비공식 채널을 통해 이미 투자돼 있는 중국 자본에도 피해가 돌아가는 공멸의 길임을 지속적으로 상기시키는 것이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중국 시장 편중은 한류 초기 일본 시장 편중과 성장-확장-쇠퇴의 주기가 상당히 유사해 보이지만 분명한 차이점은 중국은 단지 콘텐츠만을 소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들의 목적은 한국 콘텐츠 산업의 성공 신화와 전략을, 활용 내지 학습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세계 콘텐츠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것이다. 중국이 단지 판권을 사들여 중국 내에서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겠다는 비즈니스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한국 드라마, 영화, 연예 기획사에 투자해 온 것은 한국 콘텐츠에 영향력을 확보함으로써 선진 노하우를 속속들이 얻어 가기 위한 거시적인 접근이었다. 결국 한한류의 문제도 한류와 연관된 모든 이해관계를 고려할 때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우리가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은 한류는 자발적인 문화 교류의 역동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한한류의 문제를 지나치게 경제적인 차원에서만 접근하다 보니 문화 콘텐츠가 화장품이나 부동산처럼 취급되고 있다. 한류의 힘은 경제적인 파급력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유대와 공감에 있다. 문화가 지닌 자발성과 역동성, 그리고 상호 이해의 힘은 어떤 경제적인 효과와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또 하나, 문화에 국가명을 붙이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다. 1990년대를 압도했던 일류(日流)를 쓰지 않은 것은 콘텐츠가 사라져서가 아니라 굳이 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한류를 걱정하거나 비난하는 차원이 아니라 문화 콘텐츠의 자발성과 역동성을 어떻게 되살릴 것인가에 우리의 관심이 모여야 하는 이유다.
2016-12-06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