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라진 강치가 증언하는 ‘일제의 독도야욕’

사라진 강치가 증언하는 ‘일제의 독도야욕’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6-12-02 17:36
업데이트 2016-12-03 00: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도강치 멸종사/주강현 지음/서해문집/296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독도강치잡이.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할 때마다 내세우는 몇 가지 근거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생태문명사적으로 보면 이는 대단히 모순적이고 반문명적인 주장이다. 자신들 손에 피 묻혀 가며 독도강치를 멸종시켰으면서도 되레 이를 ‘다케시마 영토론’의 근거로 내세우고 있으니 말이다. 새 책 ‘독도강치 멸종사’는 이처럼 일본의 독도강치잡이를 정반대의 시각에서 해석한 책이다. 일본이 자랑스레 내세우는 독도강치잡이를 통한 독도 경영이 실은 반문명적인 범죄 행위였다는 것, 이제 우리도 고정적인 틀로만 독도 문제를 바라볼 게 아니라 생태사관에 입각해 일본의 행태를 국제사회에 알려야 한다는 것 등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가 책을 쓴 것은 일본 오키 제도 답사 뒤였다. 오키 제도는 독도에서 약 160㎞ 떨어진 섬이다. 독도 영유권 논란의 ‘진앙지’이자 여태 독도를 ‘잃어버린 땅’으로 여기는 시마네현에 속해 있다. 저자는 이곳 사람들의 독도 인식을 ‘심성사’(心性史)적 관점으로 풀어낸다. 오키 사람들의 집단적 감성지도에 독도, 즉 다케시마가 자신들의 영토라는 믿음이 있다는 것이다. 그 믿음의 연원을 따라 올라가면 독도강치가 나온다.

우리나라에서 강치를 먹거리로 삼았다는 기록은 없다. 한데 시마네현 사람들은 달랐다. 메이지 시대 이후 이어져 오던 강치잡이는 일제강점기로 접어들면서 극에 달했다. 강치 가죽과 기름은 ‘황국’으로 가져가고 고기는 먹지도 않는 ‘식민지 신민’들에게 던져줬다. 독도라는 작은 공간에서 자행된 강치 학살은 종의 절멸을 불러왔다. 19세기 중엽 4만~5만 마리로 추정되던 강치는 해방 무렵엔 종의 연속성을 담보하기가 불가능할 정도로 급감했다. 그리고 1975년 독도에서 두 마리가 목격된 것을 끝으로 독도의 오랜 주인이었던 강치는 영원히 지구 상에서 사라졌다.

일본은 1905년부터 독도를 시마네현에 포함시켰다고 주장한다. 강치가 멸종 위기에 처하자 강치어업을 허가제로 바꾸는 등의 행위를 통해 실효적 지배를 이어왔다는 것이다. 인간이 생태계의 한 종을 소멸시킬 권리가 없다는 걸 믿는다면, 이 같은 반문명적 행위에 대한 반성이 앞서야 할 텐데, 일본은 되레 이 집단학살극을 영유권 주장의 근거로 삼고 있다. 게다가 독도에서 강치절멸에 나섰던 세 가문이 아직도 독도 어장에 대한 법적 권한을 부여받고 있는 모순도 지속되고 있다. 저자는 “강치 멸종은 일본에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한국 역시 독도 문제에서 생태사관으로 시각 전환을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12-03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