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론] 촛불 든 청년들의 ‘2016년 정의혁명’/최항섭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

[시론] 촛불 든 청년들의 ‘2016년 정의혁명’/최항섭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

입력 2016-11-28 22:48
업데이트 2016-11-29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항섭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
최항섭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
2016년 초겨울 부패한 권력에 맞서 정의 구현을 외치는 대규모 국민 집회의 불길이 횃불로 번지며 전국을 휩쓸고 있다. 이 사회의 공정성을 송두리째 무시한 집단에 국민은 촛불을 들고 하나가 돼 분노의 함성을 지르고 있다. 국민이 시작하고, 국민이 중심이 되고, 국민이 최선두에 섰다. 국민이 사회의 정의를 구현하고자 나선 바로 정의혁명의 현장이다. 귀족과 정치인들이 주도했던 영국의 명예혁명과 확연히 다르다.

아이에게 ‘정의란 무엇인가’를 보여 주고자 유모차까지 끌고 나온 부모들부터 정의롭지 못한 사회에 대한 분노와 책임감을 느끼는 50·60대 기성세대까지 모두 아무리 센 바람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을 들고 나섰다.

개인주의적이고 비정치적이라고 평가받던 수많은 청년 세대도 모든 것을 뒤로하고 촛불의 바다에서 파도를 만들고 있다. 초등학생은 물론 중고등학생까지 참여해 노래, 패러디, 자유발언 등 자기들만의 방식으로 정의를 외치고 있다. 이번 정의혁명을 전 세계에서 유례없는 비폭력 민주주의 혁명으로 기록되게 하는 주역이다.

평화롭게 즐기는 모습이지만, 그들의 촛불에 겹쳐 보이는 것은 그들의 눈물이다. 초등학교 때부터 치열하게 경쟁해야 했고, 경쟁에서 이겨야만 살아갈 수 있다는 사회의 압박을 견뎠다. 친구들을 경쟁자로 인식해야 했고, 밤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고 공부하는 게 일상이었다. 혹여나 시험에서 조금이라도 성적이 안 좋으면 어깨가 처져 울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내가 노력만 더 하면 ‘언젠가는 나도 꿈을 이룰 수 있을 거야’라는 믿음을 갖고 최선을 다해 왔던 대한민국 청년 세대들의 눈물이다.

교사와 교수를 찾아가 돈과 권력으로 교단을 농단했던 최순실, ‘돈도 실력이야. 돈 없는 너희 부모를 원망해’라고 조롱한 정유라, 그리고 정유라의 과제를 대신 해 주고 출석도 하지 않은 학생에게 학점을 준 부정한 교수들은 대한민국 청년 세대들의 가슴에 너무나도 아픈 상처를 남겼다. 이들의 상처를 도대체 어떻게, 어디서부터 치유해 줄 것인가.

청년들이 고통받는 실업, 빈곤 등의 문제는 공정성이 무너진 데서 온다. 최순실, 정유라 등 돈과 권력을 지닌 특정한 집단이 청년들에게 돌아가야 할 것들을 부당한 방법으로 갈취했기 때문이다.

청년들의 상처를 치유하려면 가장 먼저 정의혁명이 성공해야 한다. 나의 권력 유지를 위해서라면 정의에 대한 국민의 외침쯤은 얼마든지 무시할 수 있는 집단에 대해 엄중한 역사의 심판을 내려야 한다. 보수와 진보, 영남과 호남이 따로 없다. 대한민국만이 있을 뿐이다. 차기 정부는 말을 타지 않아도, 돈과 권력이 없어도 자신이 노력만 하면 충분히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을 국민에게 주는 정책을 마련하고 실현해야 한다.

무엇보다 청년 세대들의 공정한 경쟁을 위해 대학 입학 과정에서 특기생, 고위층 자녀는 별도의 감사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사 관리에서 교수가 권한을 남용할 수 없도록 시스템적으로 권한을 축소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청년들이 돈과 권력을 가진 자들에게 빼앗겼던 노동의 대가와 사회 진출의 기회를 다시 찾고자 정부가 보다 공정한 청년 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것도 시급하다. 무엇보다 수많은 청년이 눈물을 참아 가며 견디는 아르바이트, 비정규직의 확연한 처우 개선이 필요할 것이며 실패해도 재기할 수 있는 취업, 창업 정책이 실현돼야 할 것이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은 ‘의례의 참여는 참여하는 사회 성원들에게 자긍심과 통합을 가져다줘 그 사회를 새롭게 발전시킨다’고 말했다. 뒤르켐은 시대의 사회 변화에 큰 관심을 쏟으며 사회의 결속과 사회적·도덕적 연대를 강조한 바 있다.

정의혁명이라는 숭고한 의례에 주체로 참여하고 있는 우리 청년 세대들은 혁명을 성공시킨 뒤 자신과 대한민국에 대한 자긍심과 통합의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2016년 초겨울 190만 촛불의 바다는 이들에게 ‘집단적 기억’으로 남을 것이다. 이들이 훗날 부모가 되고, 기성세대가 됐을 때도 다음 세대가 대한민국에 정의를 구현하는 주체가 되도록 할 것이다.
2016-11-29 31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