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In&Out] 논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 제외하자/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 부소장

[In&Out] 논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 제외하자/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 부소장

입력 2016-11-22 21:12
업데이트 2016-11-22 2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 부소장
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 부소장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어려운 수능, 소위 ‘불수능’이었다. 어떤 학생은 너무나도 어려워 ‘용암 수능’이라고까지 얘기한다. 수험생들이 수능 시험장에서 겪었을 당황함과 고통이 눈에 선하다.

수능이 끝나도 수험생들의 마음은 후련하지도, 행복하지도 않다. 수시 논술 전형에 지원한 수험생의 고민은 계속될 것 같다. 고민은 단순하다. 논술 전형에 응할까, 응한다면 어느 학교에 지원할까. 그런데 속내를 들여다보면 만만치 않은 고민이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첫 번째 문제다. 대다수 대학은 논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한다. 예컨대 ‘3개 영역 등급 합이 4’와 같은 식이다. 논술을 아무리 잘 봐도 이 조건에 만족하지 못하면 불합격이다. 따라서 논술을 보러 가기 전 수능 영역별로 몇 등급인지 확인해야 한다.

그런데 수능 성적표가 나오기 전에 수험생은 본인의 수능 성적을 정확히 알 방법이 없다. 가채점 결과를 알고 싶은 수험생들이 온갖 방법으로 자신의 답을 적어와 채점을 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를 토대로 각종 입시기관에서 발표한 예상 등급컷으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지만, 모두가 추정치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다.

두 번째 문제는 논술 전형에 응한다고 해도 모든 대학에 지원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논술을 시행하는 대학들의 시험 날짜가 많이 겹치기 때문에 어딘가는 선택하고, 어딘가는 포기해야 한다. 예컨대 수능 직후인 지난 19일 인문 논술 전형을 시행한 대학만 해도 경희대, 단국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등 8개에 이른다. 이 대학들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다 다르다. 따라서 성적을 알 수도 없는 상황에서 어딘가를 선택해야 한다.

수능을 아주 잘 친 수험생에게도 고민은 있다. 수험생이 예상하는 수능 성적이 나와 정시 지원이 가능하다면 굳이 논술 전형에 응할 필요가 없다. 차라리 정시에서 3번의 기회(가·나·다 군)를 얻는 것이 더 유리하다. 물론 가채점 결과 그대로 나왔을 때 얘기다.

정식 성적표 없이 수시냐 정시냐를 택할 고민은 수험생의 몫이다. 수능 후 논술 전형은 대학에만 유리하다. 수능 뒤에 논술을 치르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못 맞춘 것 같은 수험생들이 알아서 논술을 포기한다. 수능을 아주 잘 본 학생도 논술 시험을 치르지 않는다. 여러 대학에 넣었다가 시험 날짜가 겹쳐 포기한 학생들도 상당수다.

논술시험을 접수해놓고 오지 않는 수험생이 많아지니 대학은 논술 전형료에서 큰 이익이 남는다. 대학은 대개 6만원 안팎의 논술 전형료를 받는데, 서울 주요 대학은 대략 3만명에서 5만명이 논술에 응한다. 논술을 안 보더라도 대학이 전형료를 환불해줄 의무는 없다. 논술 전형료 상당 부분이 교수들의 채점 비용으로 들어가는데 주지 않아도 된다. 논술 전형만으로 수십억원의 전형료를 챙기는 셈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선 논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제외해야 한다. 이미 건국대, 서울시립대, 한양대 등은 논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제외했다. 충분히 논술만으로도 학생 선발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다른 대다수 논술 전형을 운영하는 대학은 여전히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강하게 요구한다. 논술만으로 판단이 어려우니, 일종의 ‘보험’ 형태로 수능 등급을 걸어놓으면 안전하게 학생을 선발할 수도 있고 수억원씩 챙길 수도 있다. 논술 전형뿐 아니라 나아가 모든 수시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제외할 필요가 있다. 원래 수시전형은 정시전형에서 수능 성적만으로는 뽑을 수 없는 다양한 적성과 소질, 능력의 학생을 선발하겠다는 것이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많은 대학이 이런 행태를 보인다. 이런 잘못된 관행부터 개선해야 대입이 건강해진다.
2016-11-23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