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전으로 여는 아침] 판단중지와 합리적 추론/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고전으로 여는 아침] 판단중지와 합리적 추론/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입력 2016-10-18 22:42
업데이트 2016-10-19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어떤 대상에 대해 대립되는 감각인식이나 사유가 있을 때, 어느 것이 진리인지 어떻게 확언할 수 있을까? 플라톤의 제자들인 아카데미학파는 탐구를 통해 진리 발견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반면 회의주의자들은 진리의 상대성을 주장하며 사물과 현상에 대해 단정적 판단이 불가능할 때 ‘판단중지’, 즉 에포케(Epoche)를 주장했다.

어떤 방식으로든 ‘보이는 것들’과 ‘사유되는 것들’의 사태들이나 진술들이 힘의 균형을 이루게 되어, 인간 능력의 한계로 더이상 나아갈 수 없게 될 때 판단중지가 마땅하다는 것이다. 진술들이 힘의 균형을 이룬다는 것은 상충하는 진술 가운데 확실하게 어느 것이 더 믿을 만한지 말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상태다. 이때 상충되는 진술 모두를 거부하지 않고 받아들이지도 않는 것이 판단중지다.

회의주의로 일컬어지는 피론주의는 고대 그리스기에 탄생했다. 섹스투스 엠피리쿠스(200?~250?)의 저작 ‘피론주의 개요’는 엘리스 출신의 철학자 피론(BC 360?~270?)의 회의주의 사상을 전해주고 있다. 아카데미 학파의 전통은 이성주의와 합리주의 철학의 근간으로 이어졌다. 그런데 피론주의는 반아카데미학파의 입장을 견지했다. 현대 포스트모더니즘은 회의주의의 상대주의적 관점을 이어받고 있다.

회의주의의 길은 ‘아포리아(Aporia)의 길’이라고도 불린다. “모든 일에 의문을 품고 탐구하기 때문이거나, 아니면 긍정해야 할지 부정해야 할지에 관해 어찌할 바를 모르기 때문이다.” 판단중지는 대립되는 진술들의 참이나 거짓을 밝혀내려고 할 때 생기는 갈등을 만들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궁구하고자 했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렇게 특정한 사유에서 ‘판단중지’(판단유보)를 통해 ‘마음의 평안’(Ataraxia)과 ‘감정의 순화’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회의주의자들이 생각하는 실익이다.

그럼에도 합리적 이성주의가 인류 문명과 인간의 인식을 이끌어 온 주류임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대립되는 모든 논의들이 동일한 가치를 갖고 있다고 믿는 회의주의자들의 견해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우리는 진리를 규명하고 확언할 수 있다는 자만과 성급함을 경계해야 한다. 또 감각과 사유의 상대적 가치에 집착하여 보편적 진리와 원리를 궁구해 내려는 치열함을 쉽게 포기해 버리는 우도 범하지 않도록 해야겠다.

고 백남기씨 사망 사건을 둘러싸고 과학적 진실 규명을 위한 근본적인 노력은 회피한 채 정략이 깔린 독단적 주장들만 넘친다. 최종 사인(死因)규명은 철학도 정치도 아닌 과학의 영역이다. 이 경우야말로 윽박지르는 정치적 판단의 중지가 긴요한 사안이 아닐까. 철학적 사유에서도 정반합(正反合)적 합리적 추론이 필요하거늘 하물며 법의학 전문가의 판단이 요구되는 과학에 있어서랴.
2016-10-19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