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희정 컬처 살롱] 단막극의 귀환이 반가운 이유

[공희정 컬처 살롱] 단막극의 귀환이 반가운 이유

입력 2016-10-11 23:06
업데이트 2016-10-12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희정 드라마 평론가
공희정 드라마 평론가
1970~80년대 학생 잡지에 실린 하이틴 스타들의 인터뷰 기사에는 이런 대목이 자주 나왔다. “어떻게 배우가 되셨어요?” “어느 날 엄마와 함께 명동을 걸어가다가 픽업됐어요.” 영화배우가 되고 싶었던 어린 시절의 나에겐 솔깃한 이야기였다.

혹시나 나에게도 ‘픽업’의 행운이 오지 않을까 하는 마음을 주체하지 못하고 친구들과 함께 명동을 향했다. 그때가 중학교 3학년. 지금은 없어진 미도파백화점 앞에서 시작된 우리들의 나들이는 명동 성당까지 이어졌다. 친구들은 휘황찬란한 유행의 동네에 넋이 나갔지만, 난 어딘가에서 나를 보고 있을 감독님을 의식하며 한껏 폼을 잡고 걸어갔다. 그날 아무도 날 ‘픽업’해 주진 않았다.

지금처럼 복합상영관이 있는 것도 아니고 십대를 위한 영화도 적었던 시절 픽업되지 못한 아픔을 안고 난 자연스럽게 TV와 친해졌다. 코미디, 외화, 쇼 등 무엇 하나 재미없는 것이 없었지만, 그중에서도 드라마를 좋아하게 된 것은 KBS ‘TV 문학관’의 영향이 컸다. 몇 날 며칠 걸려야 다 읽을 수 있는 소설을 한 시간여 만에 오감으로 완독할 수 있는 이 단막극은 활자보다 입체적이고 독서보다 효율적이었다. ‘삼포 가는 길’, ‘배따라기’, ‘등신불’, ‘젊은 느티나무’, ‘김약국의 딸들’, ‘독짓는 늙은이’ 등 수많은 문학작품을 나는 단막극으로 섭렵했다.

그렇게 드라마 사랑이 깊어지면서 한때는 드라마 작가를 꿈꾸기도 했다. 꿈은 원대했고, 결과는 처참했지만 미완의 내 걸작들은 아직도 꿈의 상자 안에 간직돼 있다. 그때 단막극은 드라마 작가 지망생들에겐 교본과도 같은 장르였다.

1980년 KBS ‘TV문학관’을 시작으로 MBC ‘베스트 셀러극장’, SBS ‘오픈 드라마 남과 여’가 순차적으로 등장했다가 사라졌지만 그래도 한때 지상파 방송사는 단막극을 정규 편성했었다.

연속극과 다른 집약된 감동이 있는 단막극은 신인 작가와 배우, 감독들의 꿈의 산실이었고, 기라성 같은 스타들의 다른 작품 세계를 만날 수 있는 시간이었다. 그런데 TV가 16부 내외의 미니시리즈, 50부 내외의 주말 드라마, 150부 내외의 일일 연속극에 익숙해지면서 드라마는 상품으로서의 가치에 집중하게 됐다. 단막극은 자본의 논리 앞에 맥없이 무너졌고, 미래의 거장을 꿈꾸는 신인들의 등단 무대도 함께 사라져 갔다. 잔인한 현실이었다.

그런데 이 가을 단막극이 돌아왔다. 비록 일 년에 몇 달, 한정적으로 만나 볼 수 있는 귀한 존재가 되긴 했지만 단막극의 귀환은 반가웠다.

신인 배우들의 연기는 신선했고, 신예 작가들의 이야기는 색달랐으며, 입봉하는 감독들의 시선은 날카로웠다. 그리고 오랜 시간 꿈을 향해 달려왔을 그들의 비상은 더 없이 힘찼다.

중국 대륙을 쥐락펴락하는 스타들도, 한 회당 수천만원에서 억대의 작가료를 받는 작가들도 미숙함에 주눅 들고, 낯섦에 긴장됐던 신인 시절이 있지 않았겠는가.

그들에겐 꿈을 향해 어설프게 첫발을 내디뎠던 그 ‘마당’이 있었기에 오늘날의 스타가 될 수 있었다. 그러니 세상이 할 일은 더 넓은 ‘마당’을, 더 많은 그들의 무대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꿈을 이뤄 내는 것은 각자의 몫이지만 꿈을 펼쳐 볼 마당을 만들고 이를 지켜 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몫이다.
2016-10-12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