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In&Out] 경제외교, 이제는 힘을 모아야 할 때/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In&Out] 경제외교, 이제는 힘을 모아야 할 때/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입력 2016-10-04 22:46
업데이트 2016-10-05 0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라오스는 불과 20여년 전만 해도 인도차이나반도의 은둔 국가였다. 주변국에 비해 적은 인구와 협소한 영토 탓도 있지만 내륙국이 지닌 지리적 폐쇄성이 가장 큰 이유다. 하지만 라오스 경제는 지금 지리적 단점을 역으로 활용해 인도차이나반도의 경제·무역 요충지로 전 세계의 이목을 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박근혜 대통령의 한·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에 맞춰 우리 기업인들도 라오스 시장 선점을 위한 행보에 나섰다. ‘한국 정상의 라오스 첫 공식 방문’이라는 외교적 의미가 더해져 성과 창출에 큰 힘을 보탰다.

우선 정부 간에는 산업통상협력위원회를 신설해 교역 투자 확대를 위한 제도적 틀을 마련했다. 민간 측에서는 대한상공회의소와 라오스상공회의소 간 경제협력위원회 신설에 합의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비즈니스 포럼에는 양국 기업인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에너지,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일대일 상담회에는 국내 기업 39개사와 라오스 기업 113개사가 참가해 140억원에 달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멕시코에서부터 라오스까지 이어진 경제사절단이 모두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정부, 유관기관, 기업들 간에 팀워크가 잘 이뤄진 덕이다. 이제는 정상과 함께하는 경제외교가 우리만의 고유 브랜드로 자리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해 중동 순방부터 러시아, 라오스 경제사절단까지 경제외교를 통해 총 21번의 비즈니스 포럼과 23번의 일대일 상담회가 개최됐다. 상담회를 통해 1114개사의 국내 기업이 421건 33억 4000만 달러 계약이라는 성과를 올렸다.

경제외교의 또 다른 수확은 중소·중견 기업들이 경제외교를 해외시장 진출의 발판으로 삼는다는 점이다. 중소·중견 기업들은 해외시장 공략 시 높은 비용과 네트워크 부족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경제외교 사절단에 참여할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현지 바이어와의 네트워크 구축과 시장 조사가 가능하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절단의 중소·중견 기업 비중은 꾸준히 증가해 이제는 신청 기업의 90% 이상에 달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일각에서는 경제외교의 성과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있다. 경제외교에 몸담고 있는 경제인의 한 사람으로서 아쉬운 점이 많다. 경제외교 성과가 국민들 기대에 부응할 만한 결과는 아닐 수 있다. 하지만 글로벌 비즈니스에서 첫 단추를 꿰는 것은 계약서에 서명하는 것만큼 중요한 일이다. 상대방의 신뢰 없이는 다음 단계로 절대 넘어갈 수 없기 때문이다.

정상이 나서서 우리 기업을 지지하고 홍보해 주는 것은 신뢰 구축 과정에서 큰 힘이 된다. 상대 기업에서는 경제외교 사절단에 참가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믿을 수 있는 기업이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다. MOU도 마찬가지다. 경제외교 참가 기업은 합의 내용을 성실히 이행할 수 있을 거라는 믿음을 얻어 협상력을 키울 수 있다.

이제는 경제외교 성과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정부 및 관련 기관들 모두 다시 한번 철저한 계획을 세우고 힘을 합쳐야 한다. 후속 사업을 통해 미비한 점을 보완하고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기업들도 제품과 기술에서 인정받아 바이어의 신뢰가 이어질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글로벌 경기 둔화는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보호무역 등 기업들의 수출 전선은 그 어느 때보다 험난하다. 경제외교는 이런 난제를 함께 해결하고자 힘을 모으는 협력의 장이다. 이 협력의 장에 정부, 기업, 기관, 국민 할 것 없이 모두가 힘을 합칠 때 지금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2016-10-05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