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뿌리 뽑힌 인간들, 우리 글쓰기의 뿌리”

“뿌리 뽑힌 인간들, 우리 글쓰기의 뿌리”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09-26 22:44
업데이트 2016-09-27 0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설가 김숨·금희 ‘문학 환담’

“한국 문단에서 상을 받을 줄 상상도 못했어요. 제겐 글쓰기가 ‘잘 쓰느냐’가 아닌 ‘쓰냐 마냐’의 투쟁이었거든요. 돈도 명예도 좋아하지만 글쓰기를 위해 다 포기했어요. 사라지는 모어(母語)로 글을 쓴다는 건 누군가는 마지막까지 해야 할 일이니까요.”

김숨(오른쪽)·금희 작가가 지난 25일 서울 정동길을 걸으며 서로의 작품 세계와 문학관, 작가로서의 삶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삶에 대한 성실함, 시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소설의 가치를 결정한다”고 믿는 금희 작가는 “김숨 작가의 작품에서 그런 소신과 방향을 읽었다”고 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김숨(오른쪽)·금희 작가가 지난 25일 서울 정동길을 걸으며 서로의 작품 세계와 문학관, 작가로서의 삶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삶에 대한 성실함, 시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소설의 가치를 결정한다”고 믿는 금희 작가는 “김숨 작가의 작품에서 그런 소신과 방향을 읽었다”고 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결 다른 서사로 최근 국내 문단에서 주목받고 있는 조선족 작가 금희(37)는 직설화법으로 말했다. ‘전업작가’란 말 대신 ‘전업주부’라고 스스로를 소개하고 2002년 한국에 들어와 식당 서빙, 모텔 청소도 가리지 않고 현실과 온몸으로 맞부딪혔던 그다운 화법이었다.

에둘러 가지 않는 그의 직선의 말을 김숨(42) 작가가 차분히 끌어안았다. “금희 작가의 작품엔 오정희, 박완서 등 역사의 소용돌이를 겪은 윗세대 작가들의 호소력이 깃들어 있어요.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끊임없이 받고 고민하면서, 오히려 정체성은 더 단단해지고 결핍은 에너지로 옮겨간 거죠.”

볕이 다사롭던 지난 25일 서울 정동길에서 두 작가가 나눈 ‘문학 환담’에 귀를 기울여봤다. 국내 작가와 해외 작가가 짝을 이뤄 진행되는 서울국제작가축제에서 유일하게 통역이 필요없는 문우(文友)로 만난 두 사람은 “대화를 하다 보니 내 자신이 깨지고 확장되는 느낌”이라며 “같은 언어를 써서가 아니라 동료 작가로 맞닿는 시선이 있다”고 소녀처럼 즐거워했다.

“저희 둘의 작품에는 이주, 뿌리 뽑힘이라는 공동의 주제가 있어요. 금희 작가는 3세대 이주민으로 국적은 중국이지만 조선족이고 한국 사람도 북한 사람도 아닌, 역사가 만든 태생을 지니고 있구요. 저는 태생적으로 원래 있던 자리를 벗어나는 데 대한 공포가 커요. 그래선지 제가 견딜 수 없는 뿌리 뽑힘을 당한 사람에게 시선이 가고 영감을 받아요.”(김숨)

“말씀대로 저는 ‘너는 누구냐’, ‘어느 편이냐’는 질문을 받고 또 받았어요. 조선족 사회가 무너지면서 생존과도 맞물린 질문이 됐죠. 그런 질문을 받을 때마다 양파 껍질 벗듯 외피를 벗고 알맹이로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했어요. 조선족 사회와 탈북 등을 소재로 글을 쓰는 것도 그래서예요. 하잘것없는 삶이라도 삶과 부딪혀 얻는 제 이야기를 쓰는 게 나아요. 그게 결국 인간에 대한 물음이자 ‘내가 찾은 나’이거든요.”(금희)

무너지는 사회, 사라지는 언어, 뿌리 뽑힌 인간을 기억하려는 이들의 성실한 글쓰기는 계속된다. 김숨 작가는 러시아 연해주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한 이들의 떠도는 운명을 다음 작품으로 정했다. 금희 작가는 황폐해진 조선족 사회를 통해 인간 본연의 폭력과 마주하게 하는 소설을 국내 계간지에 곧 발표할 예정이다. 문학으로 시작된 대화는 삶으로 끝을 맺었다. “글 쓰는 게 갈수록 두렵지 않느냐”는 김숨의 물음에 금희 작가는 고개를 깊이, 여러 번 끄덕였다. “맞아요. 두려워요. 기술보다는 ‘영혼을 건드리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그러려면 내가 제대로 살아야죠. 사는 만큼 써요. 얼마나 성실하고 성숙한 인격으로 사느냐가 작품에 절로 배어 나오니까요. 제가 김숨 작가의 작품에서 맑고, 문학에 전력투구하는 영혼을 봤듯이요(웃음).”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9-27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