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도시외교, 국격도 높인다/한준규 사회2부 차장

[데스크 시각] 도시외교, 국격도 높인다/한준규 사회2부 차장

한준규 기자
입력 2016-09-22 18:04
업데이트 2016-09-22 18: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준규 사회2부 차장
한준규 사회2부 차장
지난 6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GSEF·이하 지세프) 총회 취재를 위해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사회적경제가 뭐 대단하다고 서울시에서 몬트리올 총회까지 참석하나. 총회에 1800여명이 참가한다고 너무 뻥튀기하는 거 아냐’라고 부정적으로 생각했다.

시차 적응이 안 된 몽롱한 상태에서 7일 지세프 총회가 열리는 몬트리올 컨벤션센터에 들어서면서 깜짝 놀랐다. 총회 참가 접수대에 수백 명이 줄을 서 있었다. 참가비가 60만원으로 비쌌는데도 말이다. 150여개 원탁 테이블이 펼쳐져 있는 총회장은 62개국 330여개 도시의 다양한 인종과 언어를 가진 사람들이 가득했다. 한국에서는 아직 낯선 사회적경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높은 관심이 느껴졌다.

총회에는 지세프의 의장 도시인 ‘서울’ 대표로 박원순 서울시장과 문석진 서울 서대문구청장, 김영배 서울 성북구청장, 박우섭 인천 남구청장, 민형배 광주 광산구청장 등 겨우 5명이 참석했다. 그래도 서울은 2018년까지 지세프의 의장 도시에 연임됐다. 세계의 도시 대표들이 ‘서울시’를 다시 한번 사회적경제 리더로 인정한 것이다. 도시외교가 빛을 발하는 순간이었다. ‘서울’이 ‘핫’한 글로벌 어젠다인 ‘사회적경제’를 선도하며 62개국 330여개 도시에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알리고 각인시키지 않았을까 싶다.

광역지방정부는 지난해 6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로 경제가 어려울 때 앞다퉈 안전한 대한민국 알리기에 나섰다. 당시 박 시장은 중국 광저우에서 빨간 바지를 입고 유커(중국 관광객)의 눈길을 끌었다. 원희룡 제주지사와 유정복 인천시장도 중국 상하이에서 대형 여행사와 도시 관계자 등을 만나 크루즈산업 활성화와 관광 세일즈에 힘을 보탰다. 그 덕분인지 메르스 사태가 종료되자 유커들이 돌아왔다.

또 기초자치단체들도 자매도시와의 직접적인 교류로 우리나라를 알리고 지역 중소기업의 판로 개척 등에 열성이다. 최근 이동진 서울 도봉구청장은 중국 창핑구와의 교류 20주년 행사 무대에 올라 직접 노래를 부르면서 적극성을 보였다.

그동안 국가 간 소수에 의해 이뤄지던 외교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이제는 국가원수끼리 손을 맞잡으며 외교와 안보를 논하기보다 도시와 도시끼리 필요한 것을 주고받는 도시외교의 시대다. 총과 칼이 연대하는 전통적인 안보외교보다 노래와 드라마, 음식으로 교류하는 문화외교 시대로 흘러가고 있다.

따라서 중앙정부는 외교를 독점하려는 자세를 버리고 지방정부의 도시외교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 도시 간의 외교가 활발해지면 국가 간의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다.

또 ‘핵실험’으로 얼어붙은 대북 관계를 복원하는 데도 도시외교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방법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른바 ‘역할분담론’이다. 정치와 문화, 스포츠 교류를 분리해 생각하자는 것이다. 대북 확성기 폭격으로 군사적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해 8월 평양에서 열린 국제유소년축구대회에 강원도와 경기도가 참여했던 것이 좋은 예다. 남북의 도시들이 역사와 문화, 스포츠 교류로 얼굴을 맞대고 소통이 활발해질 때 박근혜 정부의 ‘통일 대박론’도 더욱 힘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도시외교’를 지원하고 활용한다면 국격도 높이고 경제와 안보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중물’로 쓸 수 있다는 사실을 되새겨야 할 시점이다.

hihi@seoul.co.kr

2016-09-23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