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초장기 집권으로 내달리는 아베/이석우 도쿄 특파원

[특파원 칼럼] 초장기 집권으로 내달리는 아베/이석우 도쿄 특파원

이석우 기자
입력 2016-09-09 22:50
업데이트 2016-09-09 23: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석우 도쿄 특파원
이석우 도쿄 특파원
“2020년 도쿄올림픽 개막식에 등장할 일본 총리는 누구일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아베 신조 총리가 (그때까지 집권해 올림픽 개막식 자리에 서려는) 욕심을 낸다”고 화제에 올리면 “그야 그러고는 싶겠지만…”이라는 현지인들의 대답이 돌아왔다. 그러던 것이 요사이 말없이 고개를 끄덕이거나 “그렇게 될 가능성도 크지…”란 응답이 부쩍 늘었다.

아베 총리의 행보에 탄력이 붙었다. 집권 자민당 주류가 그의 총재 임기 연장을 공론화하겠다고 나서고 있다. 자민당 당론을 고쳐 2018년 9월을 넘어서도 아베가 자민당 총재와 총리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움직임이다.

자민당 당규에 묶여 지금까지 총재는 3년씩 한 차례 연임만 할 수 있었다. 집권당 당수가 총리를 겸하는 게 관례여서 다들 “지난해 9월 총재 연임을 시작한 아베 임기는 2년이 남아 있다”고 생각해 왔다. 그러던 것이 당내에서 ‘아베 1강 체제’가 단단해지면서 총재 임기 제한을 고쳐 총리직을 계속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만들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다.

이런 움직임 뒤에는 뛰어오른 지지율 등 호의적인 여론도 있었다. 지난달 22일 공개된 여론조사(닛케이)에서 일본 국민 10명 가운데 6명꼴인 59%는 ‘(2018년까지인) 아베의 임기를 연장해 도쿄올림픽까지 맡겨야 한다’고 답했다. 내각 지지율도 62%로 뛰었다.

현 흐름대로라면 당규 개정은 일사천리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아베는 그렇게 되면 2021년 9월까지 총리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2006년 10월 첫 집권 뒤 1년 만에 민주당에 정권을 내주며 하차했던 아베가 2012년 재기하면서 이런 파죽지세의 기세로 정권 장악력을 높일지는 아무도 몰랐다.

사상 최초로 정권 교체를 이루며 집권했던 민주당의 무능과 무기력, 사회당의 몰락 등 대안 제시에 실패한 야권…. “수권 능력 없는 야당은 안심이 안 된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자민당 독주는 계속될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아베는 ‘미래와 성장’, ‘자랑스런 역사와 아름다운 일본’이란 깃발을 흔들며 국민을 고무시켰다. ‘잃어버린 20년’과 ‘고령화’ 속에서 활력을 잃어 가는 일본 사회에 가능성과 희망을 제시하면서 국민들을 끌어당기고 있다. “아베의 우경화는 마뜩지 않지만, 그래도 대안도 없어…”라는 일본인이 많다. “좋아서라기보다는 그나마”란 ‘소극적 지지’지만 그 방향으로 분위기가 쏠린다.

양적완화 등 아베의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가 언제까지나 지속될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 그래도 힘겨운 하루하루를 넘어야 하는 소시민은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고, 그럴 때 아베는 “내가 책임지겠다”며 팔을 벌렸다.

불안과 기대라는 상반된 두 마음을 어루만져 나가면서 아베는 ‘슈퍼 장기집권’으로 달려가고 있다. 미국과의 동맹 강화를 통해 대외 여건도 다졌다. 안정된 미·일 관계를 축으로 아베는 최근 러시아와도 북방영토 해결 및 평화조약 체결 등 큰 매듭의 실마리에 다가섰다. 미국의 신뢰와 정권 교체기의 공백을 활용하면서 국제적 생존 공간과 실리를 넓히고 있다.

안정과 보수로 쏠리는 일본 국내의 변화, 불안정성이 커 가는 동북아 및 국제환경의 소용돌이 속에서 자존을 지키기 위한 전략과 선택은 무엇일까. 아베에게 쏠리는 일본 국내의 변화는 9일 단행된 북한의 5차 핵실험과 같은 북한 리스크의 증대 속에서 우리에게 생존과 직결된 도전적인 화두를 제시하고 있다.

jun88@seoul.co.kr
2016-09-10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