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독립잡지’ 소수의 취향, 공감의 시작

‘독립잡지’ 소수의 취향, 공감의 시작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08-26 17:56
업데이트 2016-08-27 0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누가 무엇을 만들지 아무도 모르는 게 이 세계의 매력이자 가능성이다.”(헬로인디북스 이보람 대표)

“아무것도 없는 사람도 자기만의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진입 조건 따위는 없고 콘텐츠만 있으면 만들 수 있으니까.”(계간 홀로 이진송 편집장)

이미지 확대
주류 잡지들의 흥망성쇠와 관계없이 오롯이 제 목소리를 내며 ‘오늘’을 비추는 독립잡지들이 독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사진은 서울 홍익대 인근의 독립출판 서점 유어마인드 매대에 진열된 독립잡지들의 모습.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주류 잡지들의 흥망성쇠와 관계없이 오롯이 제 목소리를 내며 ‘오늘’을 비추는 독립잡지들이 독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사진은 서울 홍익대 인근의 독립출판 서점 유어마인드 매대에 진열된 독립잡지들의 모습.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한 해 100여종 뜨고 지고… 작지만 큰 이야기들

가능성과 매력으로 뭉친 ‘이것’이란 무엇일까. 주류 매체들이 폐·휴간을 거듭하는 가운데 활기를 띄는 독립잡지를 두고 하는 말이다.

업계에 따르면 한 해 100여종의 독립잡지들이 뜨고 진다. 책과 독자가 만나 화학작용을 일으키는 장소, 독립출판 서점도 전국 95곳으로 집계된다. 2009년부터 매년 열려 온 독립출판물 전시 및 판매 행사인 제7회 ‘언리미티드 에디션’은 참가자가 첫 회 900여명에서 지난해 1만 3000여명으로 폭증했다. 이보람 헬로인디북스 대표는 “대중을 상대로 하는 기성출판물과 소수의 개성과 콘텐츠를 엮은 독립출판물이 함께 출판 문화를 더 다양하게 만들고 있다”고 했다. 개인의 목소리로 발아한 독립잡지는 극소수의 취향을 겨냥한다. 하지만 기존 출판 지형의 질서에서 벗어난 독립잡지의 주제들은 ‘소수지만 보편적이고, 작지만 다양한’ 이야기를 모두 아우른다. 개인의 목소리가 모자이크처럼 짜여져 결국 ‘우리’와 ‘시대’를 담는 셈이다.

●혼자놀기·N포 세대 등 ‘개인’ 너머 ‘시대’ 담아

혼자 놀기, 덕질을 장려하는 ‘더 쿠’, 일상의 맛을 돋워 줄 취미를 소개하는 ‘쏘-스’, 여성들을 향한 도색 잡지를 표방하는 ‘젖은 잡지’, 콘크리트 아파트가 고향인 세대를 위한 ‘안녕, 둔촌주공아파트’ 등 톡톡 튀는 잡지들도 많다. 동시에 젊은층이 한껏 공감할 주제의 잡지들도 포진해 있다. N포세대의 민낯을 볼 수 있는 ‘월간 잉여’, 연애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계간 홀로’, 미혼 혹은 비혼 여성들의 삶을 주목하는 ‘노처녀에게 건네는 농’, 살아가며 부딪치는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탐구하는 ‘현실탐구단 보고서’, 이별 후 좌절을 겪을 ‘구 여친’들을 위한 ‘9여친북스’ 등이다.

●비용·관심사 한계에 부침 심해… 독자와 소통도 관건

언리미티드 에디션을 이끄는 홍대 독립출판 서점 유어마인드의 이로 대표는 “‘이런 힘든 시대에 어떻게 이런 사소한 얘기를 할 수 있나’ 싶겠지만 집단을 의식하지 않는 개인들의 목소리가 각자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시대적으로 자연스레 의미를 갖는다”며 “특정 지형을 의식하거나 전략을 따지지 않고 발화되는 이야기들이라 더 재미있고 의미가 있다”고 했다.

독립잡지는 자발적인 출판물인 만큼 부침이 심하다. 업계 관계자들은 “3호까지 펴내는 게 관건”이라고 입을 모은다. 비용도 문제지만 제작자의 관심사가 바뀌며 폐간하는 일도 잦다.

어쩌면 상업적인 성공이 중요하지 않다는 데서 독립잡지의 가능성과 한계가 함께 잉태되는지도 모른다. 올해 16년째로 최장수 독립잡지로 꼽히는 ‘싱클레어’의 수석에디터 강지웅씨는 최근 독립잡지 출간과 독립출판물 서점이 함께 늘어나는 데 대해 “독립잡지는 제작자들의 관심, 기호, 생각, 주장이 소수일지언정 호응하는 독자들과 만나는 과정이 관건이다. 상업적인 성공이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시도가 더 과감하게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이라고 짚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8-27 1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