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위기의 순간에 더 중요한 ‘소통’/이호령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열린세상] 위기의 순간에 더 중요한 ‘소통’/이호령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입력 2016-08-11 18:42
업데이트 2016-08-11 19: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호령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이호령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소통과 공감’이라는 방송이 있을 만큼 소통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또한 국가, 사회, 조직, 개인 등 모든 영역에서 큰 문제부터 작은 문제에 이르기까지 ‘소통’의 중요성은 늘 따라다닌다. 홍보실과 대변인실이 주요 부서로 자리매김되고, 정책에 문제가 발생하면 바로 대변인실이나 홍보실을 통해 ‘소통’의 장을 최대한 빨리 여는 것이 기본이 될 만큼 위기관리 측면에서도 ‘소통’은 매우 중요하다.

나아가 일촉즉발의 위기 순간에도 상황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핫라인’을 만드는 것도 바로 ‘소통’의 중요성 때문이다. 바로 소통의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모든 비판에는 항상 ‘불통’의 문제가 뒤따른다. 최근 사드 도입을 둘러싼 비판에도 ‘소통’ 문제가 가장 크게 부각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 정부와 국민, 여당과 야당, 국방부와 성주군, 대변인실과 기자 등 모든 영역에서 ‘소통’ 문제가 연일 제기되고 있다.

돌이켜 보면 어떤 정부도 ‘소통’과 관련해 뭇매를 맞지 않은 정부가 없었다. 정부가 발표해 왔던 정책들 뒤에는 늘 ‘소통’의 문제가 뒤따랐다. 그때마다 정부는 홍보의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고 확대하고, 많은 시간을 설명하고 설득하는 데 할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통이 불통이라는 비판과 함께 사회는 소통을 항상 갈급해 왔다. ‘소통의 부재’는 왜 해결되지 않는 것인가.

먼저 ‘소통의 충분성’ 문제를 제기해 볼 수 있다. 에릭 슈밋 구글 회장은 구글 운영과 관련해 한두 번 말하면 바빠서 귀 기울이지 않고 몇 번을 말하면 그제야 무슨 소리가 들렸다고 반응하고 열다섯 번, 스무 번 정도 반복해 지칠 정도가 되면 알아듣는다며 ‘지나친 소통’이란 없다고 한다. 또한 한 연구에 따르면 주어진 정보를 완전히 받아들이는 것은 30% 정도이고, 70%는 정보의 일부만 받아들이기 때문에 기업 경영자들은 70%와 끊임없이 소통해야 한다고 한다. 즉 전달자로서 생각하는 충분성과 수용자로서 받아들이는 충분성 간에는 큰 갭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사드 배치와 관련해 정부가 주변국과 국내에 아무리 충분히 설명했다고 할지라도 수용자로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둘째, ‘소통의 목적’이 간과되는 문제가 있다. 소통을 하는 이유는 바로 서로 막힘 없이 통하는 것, 즉 ‘공감’을 하기 위해서다. 인간에게 입이 하나, 귀가 둘이 있는 이유는 말하기보다 듣기를 두 배 더 잘하라는 탈무드 이야기처럼 소통의 장애물을 제거해 나가는 데는 전달자나 수용자 모두 서로 견해를 잘 들어야 한다. 아무리 소통의 횟수를 늘린다고 해도 내가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말하고 싶은 것만 말한다면 소통은 겉돌 수밖에 없다. 상호 공통분모가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드 배치 결정 발표에 앞서 배치 필요성에 대한 충분한 공감대가 형성됐었는가도 짚어 볼 필요가 있다.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이 없다면 사드 포대를 배치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북한은 지금 이 순간에도 핵과 미사일을 고도화하고 있는 상황이 아닌가.

이러한 상황하에서 우리가 빠른 시일 내에 취할 수 있는 군사안보적 조치는 무엇인가. 물리적 대응 수단을 갖추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이치다. 사드 배치도 이러한 맥락에서 선택된 자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드 배치가 정쟁의 문제, 외교의 문제로 발전한 데는 ‘상호 공감’의 문제가 크지 않았나 싶다. 중국과의 관계나 성주 군민들과의 관계 등에서 사드 배치와 관련된 ‘공감’을 이끌어 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신뢰’가 기저에 흐르지 않는다면 ‘공감’을 이끌어 내기 어렵다. 어쩌면 소통의 문제는 ‘불통’이 아니라 ‘불신’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소통이 안 되기 때문에 불신의 문제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을 만큼 소통과 신뢰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그러나 더 엄밀히 들여다보면 국가나 조직, 그리고 개인 모두 자기의 경험과 세계관이 고착된 인지도(cognitive map)에 따라 정보를 처리해 나간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내가 상대방과 다른 렌즈를 갖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상대방에게 열린 자세로 소통을 하고자 하는가다. 바로 상대방에 대한 신뢰다. 사드 배치를 둘러싼 ‘소통’ 문제에는 ‘공감’과 ‘신뢰’의 문제가 더 크지 않았나 싶다.
2016-08-12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