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길섶에서] 정(情)/강동형 논설위원

[길섶에서] 정(情)/강동형 논설위원

강동형 기자
입력 2016-07-29 17:50
업데이트 2016-07-29 18: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사회는 ‘정’(情)이 많은 사회라고 한다. ‘정’의 사전적 의미는 친근감을 느끼는 마음이라고 돼 있다. 이웃이 어려움을 겪을 때 십시일반 도와주는 ‘정’이 우리 공동체를 지탱해 주는 힘이 아닐까.

정은 사람과의 관계에서만 생기는 게 아니다. 지속적인 접촉과 경험을 통해 모든 사물과 동식물 등 특정 대상들과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유대감도 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정이 넘치는 사회’는 우리가 추구하는 공동체의 이상이기도 하다. 하지만 동시에 정 때문에 생기는 청탁문화와 부정부패 등 부작용은 극복해야 할 대상이다.

점심을 먹으면서 ‘김영란법’이 화제에 올랐다. 정이 들 대로 든 지인이 “김영란법으로 정이 메마른 사회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말을 했다. 그의 이야기에 공감한다.

정에도 도덕과 무관한 정, 도덕적인 정, 비도덕적인 정 등 세 종류가 있다고 한다. 공과 사를 구분 못해 ‘비도덕적 정의 유혹’에 빠지지 않는다면 얼마든지 정이 넘치는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지인의 우려가 기우가 됐으면 한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6-07-30 23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