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 최초 신문 전면 광고는 ‘영국산 소다’ 였다

한국 최초 신문 전면 광고는 ‘영국산 소다’ 였다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7-28 17:56
업데이트 2016-07-28 19: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한글박물관 ‘광고언어’ 특별전

개화기부터 130년 우리말역사 조명
가족상·디자인 등에 시대 변천 담아


이미지 확대
‘황성신문’ 1899년 11월 14일자에 실린 최초의 전면 광고인 ‘영국산 소다’ 광고.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황성신문’ 1899년 11월 14일자에 실린 최초의 전면 광고인 ‘영국산 소다’ 광고.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1930년대 유한양행 ‘네오톤 토닉’ 의약품 광고.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1930년대 유한양행 ‘네오톤 토닉’ 의약품 광고.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덮어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 ‘알맞게 낳아서 훌륭하게 기르자!’(출산 제한했던 1960년대).

‘혼자 사는 아이처럼 독거노인에게도 관심이 필요합니다’(1인 가족 급증한 2000년대).개화기부터 현재까지 130여년 한국 광고 역사를 우리말과 글의 관점에서 풀어낸 독특한 전시가 마련됐다. 28일 개막, 11월 27일까지 이어지는 국립한글박물관의 기획특별전 ‘광고 언어의 힘, 보는 순간 당신은 이미 사로잡혔다’다.

김철민 한글박물관장은 “그간 광고를 주제로 한 전시는 시대상과 사회 문제, 예술적 표현 등을 다루는 데 집중했다”며 “광고에 쓰인 우리말과 글의 역사를 다룬 건 이번 전시가 처음”이라고 밝혔다. 전시는 4부로 이뤄져 있다. 신문, 영상, 도면 등 광고 자료 357점과 시대별 대표적인 광고 문구 283점 등 총 640여점의 자료가 전시된다. 전시품 중엔 한국 최초 상업 광고가 실린 1886년 2월 22일자 ‘한성주보’, 1896년 11월 발간된 ‘독립신문’ 국문판과 영문판 광고, 최초의 전면 광고인 ‘영국산 소다’ 광고가 실린 1899년 11월 14일자 ‘황성신문’ 등 개화기 신문 광고와 1930년대 유한양행의 ‘네오톤 토닉’ 의약품 광고 등 일제강점기 광고, ‘리더스 다이제스트’ 등 광고 글자 표현에 힘썼던 고 김진평(1949∼1998)의 한글 디자인 도면 등 귀중한 자료들도 많다.

1부 ‘광고를 읽는 새로운 시각, 광고 언어’에선 개화기부터 1945년까지 주요 광고를 통해 광고 언어의 발달 과정을, 2부 ‘광고 언어의 말맛’에선 소리와 글자를 사용해 제품과 기업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광고 글쓰기의 이모저모를, 3부 ‘광고 언어의 글멋’에선 1950년부터 현재까지 제품 광고의 언어 사용과 글자 표현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소개한다. 4부 ‘광고 언어, 우리들의 자화상’에선 광고 언어를 통해 가족의 모습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 시대상을 담았다.

김 관장은 “1886년 2월 22일자 ‘한성주보’에 실린 최초의 상업 광고에 나온 ‘고백’(告白)이라는 말이 광고를 뜻하는 최초의 단어로 알려져 왔는데 이보다 3년 앞선 ‘조선왕조실록’ 1883년(고종 20년) 8월 30일자 기록에 인천항 개항과 관련해 근대적 의미의 ‘광고’(廣告)라는 표현이 나온다”며 “1910년 이후 일본 광고의 영향이 커지면서 고백이라는 단어가 점점 사라지는 변화 과정도 이번 전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7-29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