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옥의 섬 선감도, ‘소년판 삼청교육대’…공포의 수용시설 충격

지옥의 섬 선감도, ‘소년판 삼청교육대’…공포의 수용시설 충격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7-28 00:06
업데이트 2016-07-28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적60분 ‘유골은 말한다 - 선감도의 묻혀진 진실’. 출처=KBS 홈페이지 화면 캡처
추적60분 ‘유골은 말한다 - 선감도의 묻혀진 진실’. 출처=KBS 홈페이지 화면 캡처
27일 밤 방송된 KBS2TV ‘추적60분’에서는 지옥의 섬 선감도의 실체를 공개했다.

이날 추적60분은 ‘유골은 말한다 - 선감도의 묻혀진 진실’이라는 주제로 방송됐다.

선감도는 소년판 ‘삼청교육대’였다.

1963년 어느 날, 8살 쌍둥이 형제는 시장에서 그만 할머니의 손을 놓치고 만다. 형제는 경찰에 의해 아동보호시설로 옮겨졌고, 그 길로 영문도 모른 채 경기도의 한 섬으로 끌려가 부랑아 수용시설에 수용된다. 도착한 그 곳에는 이미 쌍둥이 형제 또래의 소년들로 가득했다. 그리고 시작된 지옥 같은 생활. 쥐나 뱀까지 잡아먹으며 배고픔을 견뎌내야 했던 것은 물론, 무자비한 폭력과 강제노역이 매일같이 이어졌다. 결국 쌍둥이 형은 수용시설에서 1년이 채 못 되어, 숨지고 말았다.

쌍둥이 동행 허일용 씨는 “사람들하고 섞여서 공포스러운 기억으로 들어왔죠. 완전 수용소 같은 데였어. 걸핏하면 군대식으로 하고 어린 애들을 그런 식으로 다 관리 했으니까”라고 말했다.

형제가 끌려간 시설, ‘선감학원’은 일제강점기인 1942년, 경기도 안산시 선감동에 일본이 세운 건물로 태평양전쟁의 전사 확보를 명분으로 아동, 청소년을 강제 입소시켜 노역·폭력·학대·고문을 하며 인권을 유린했던 곳이다.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광복 이후, 선감학원에 대한 관리가 경기도로 이관됐고, ‘부랑아 수용시설’로 다시 문을 연 이곳에서 끔찍한 인권유린이 계속 자행됐다는 것이다.

원생 당시 8살이었던 이씨는 “차가 하나 와서 막 붙드는 거예요. 집에 가려고 발버둥을 쳤더니... 사람을 개 소 돼지도 그렇게는 안 때려요. 한 번 맞으면 엄청 납니다. 피멍이 들어서 옷이 등짝에 달라붙고”라고 전했다.

어릴 적 기억을 떠올리면 아직도 몸이 덜덜 떨린다는 이씨는 8살 무렵, 수원역 앞 친구들과 놀고 있던 중 갑자기 경찰에 붙잡혀 한 섬으로 끌려갔다며 기막힌 이야기를 털어놓았다. 도착한 섬에서의 생활은 감히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처참했다고 한다. 무시무시한 구타와 굶주림의 연속, 심지어 일부 원생들 사이에서는 성폭행까지 일어났다. ‘선감학원’의 소년들은 매일 밤 목숨을 건 탈출을 꿈꿨다.

원생 당시 7살이었던 김씨는 “내가 왜 부랑아야, 부랑아 행동을 한 게 없는데... 헤엄쳐서 도망가다 잡히면 반 죽는 거죠. 도망갈까봐 알몸으로 재워요. 맞기 전에 곡괭이 끌고 오는 소리의 공포감이란 말도 못하죠”라고 말했다.

쌍둥이 형과 선감학원에 입소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아 갑작스런 형의 죽음을 접해야 했던 허일용 씨(61)는 당시 8살이었다. 허씨는 52년이 지나도록 숨진 형이 어디에 묻혔는지 알 수 없었다고 한다. 수소문 끝에 만난 선감학원 원생 출신이라는 한 제보자가 충격적인 이야기를 털어놓았다.

선감학원 22년 근무자는 “우리 애들은 다 빡빡머리거든. 내가 6명 정도 묻었는데 병원에서 죽은 쌍둥이 형도 기억이 나”라고 말했다.

선감학원 출신 생존자들과 마을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선감학원에서 불과 500m 떨어진 야산에는, 불법 암매장 된 원생들의 시신이 수백 구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일부 지역을 GPR(지반탐사기)로 조사한 결과, 최소 120여구가 매장 돼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취재진은 원생 출신 김 씨의 증언을 토대로 쌍둥이 형의 유해 발굴 작업에 나섰다. 안중근 의사와 6.25전사 유해발굴에 참여했던 고고학자 박선주 교수와 국과수 출신 법의학자 등 전문가들이 현장에 함께 했다. 모두가 숨죽인 가운데 서서히 드러난 것은, 나무뿌리에 엉킨 유골의 잔해와 어린아이의 고무신 한 켤레였다.

선감학원의 비극적인 실상을 처음 세상에 알린 사람은 일본인 ‘이하라 히로미츠’다. 일제 시대 선감학원 부원장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선감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원생들의 참상을 생생하게 목격했다는 그는, 일제 강점기의 잔재가 해방 후 30년간 더욱 끔찍한 방식으로 남아 있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한다.

이하라 히로미츠는 “45년에 끝난 후에 몇 십 년이나 더 있었는데 그 때 죽은 사람이 있고, 죽은 사람을 몇 명을 한 구덩이에 묻고... 일본 시절보다 더 심했다고 들었어요. ‘한국인들끼리도 똑같이 했구나’ 라고 생각했죠”라고 전했다.

취재진은 이 참혹한 인권유린을 자행한 곳이 바로 ‘대한민국 정부’라고 밝혔다.

어린 나이에 섬에 끌려와 인권을 유린당하고 심지어 목숨까지 잃은 아이들. 하지만 2016년 지금까지도, 피해 조사는 물론 어떤 대책이나 지원도 전무한 상황이다. 진상규명에 대한 움직임이 부진한 이유에 대해, 공무원들은 하나같이 “선감학원에 대한 기록이 없다”고 말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