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 마당] 공감 흉내/김재원 KBS 아나운서

[문화 마당] 공감 흉내/김재원 KBS 아나운서

입력 2016-07-27 18:04
업데이트 2016-07-27 19: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재원 KBS 아나운서
김재원 KBS 아나운서
‘뷰티풀 마인드’는 잘 만들어진 의학 드라마다. 미국 드라마 ‘닥터 하우스’를 떠올리며 달달한 사랑 얘기에 큰 관심 없는 중년 남성의 시선을 모으기에 충분하다. 주인공 이영오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를 앓는 신경외과 의사다. 자신을 입양한 의사 아버지의 도움으로 장애를 숨기고 보통 사람처럼 살려고 노력한다. 타인의 감정에 관심이 없고 공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버지의 가르침으로 다른 사람의 표정과 행동을 관찰해 학습한 대로 감정을 읽는다. 입 모양, 눈꼬리, 손의 위치, 표정의 세밀한 변화까지 살펴서 환자와 공감하고 사랑을 느끼는 반응을 보인다. 공감을 흉내 내는 것이다. 어린 시절 그는 늘 아버지에게 이렇게 물었다. “열심히 노력하면 언젠가 저도 느낄 수 있는 날이 올까요? 흉내가 아니라 보통 사람들처럼 말이에요.”

공감(sympathy)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심 파토스’(sym pathos)로 함께 고통을 느낀다는 뜻이다. 드라마 속 대사처럼 가까운 경쟁자의 고통은 분명 내게는 달콤한 그의 약점이다. 또한 길거리 약자의 어려움은 옆 사람만 없으면 팽개치고 싶은 부담스런 짐짝이다. 그나마 짐으로라도 느끼면 적어도 공감 능력은 있는 사람이다. 한 고위 공무원이 국민을 동물에 비유하고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경우를 보면 그들은 어쩌면 서민의 고통 따위는 아무 상관없는 모양이다. 그 고위 공무원은 고향 어르신들이 개, 돼지, 소를 얼마나 아끼고 식구처럼 지내는지도 모르는 채 그런 망언을 뱉었다. 그의 공감 대상은 지극히 제한적이다.

지난 11일 인구의 날 기념식을 진행했다. 각종 표창과 공모전 시상식이 이어졌다. 긴 시상의 끝 무렵 포스터 공모전에서 수상한 어린이가 무대에 올라 상을 주는 차관 앞에 섰다. 시상자는 아이와의 거리를 직감하고 얼른 무릎을 꿇었다. 눈높이를 맞춘 것이다. 긴 시상식에서 잦아들었던 박수 소리가 유난히 커졌다. 그 무릎은 아이가 상을 다 받고 등을 돌린 다음에야 펴졌다. 물론 무릎 꿇어 눈높이를 맞춘 비슷한 상황은 영상을 통해 화제가 된 적도 있다. 무릎 꿇은 시상자의 진심의 진위를 떠나 적어도 공감을 표현했고, 그 행동은 큰 박수를 불렀다.

나도 ‘6시 내 고향’을 진행하면서 고향 어르신들의 마음을 읽고 공감하며 위로하려고 애쓴다. 하지만 줄곧 도시에서 살아온 내가 그분들의 마음을 얼마나 알겠는가. 청년 시절 농촌 활동 몇 년 다닌 것으로는 턱도 없다. 그래도 나는 진심 어린 흉내를 낸다. 그 흉내가 작은 위로가 되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20년 넘게 방송을 하고 나니 이제야 서서히 진심을 담을 수 있게 됐다. 최근 아침 방송의 장수 진행자가 교체되면서 시청자들이 무척 아쉬워했다. 그녀야말로 경청과 공감의 상징이었기 때문이다. 그녀가 일상에서 보여 주는 공감도 비교적 훌륭하지만 생방송 때만큼 열렬하지는 않다. 과도한 동작과 가식적인 표정으로 일부 비난도 받아 왔던 그녀도 아마 공감을 흉내 내고 있었으리라. 흉내라 해도 시청자들의 감동을 끌어내기에는 충분했다.

세금 안 내는 부자들에게 사기를 치는 드라마 ‘38사기동대’가 인기를 끌고, 조선시대 탐욕에 찌든 관리에게 사기를 치는 ‘봉이 김선달’이 관객을 꽤 모았다. 그만큼 우리는 사기꾼을 통해서라도 그들을 혼내 주고 싶은 모양이다. 그들이 도무지 우리들과 공감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들이 진정 우리와 공감할 수 없다면 흉내라도 내 주면 좋겠다. 그러다 보면 분명 겨자씨만 한 진심이라도 담길 날이 올 것이다. 보통 사람들처럼 말이다.
2016-07-28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