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수요 에세이] 공무원 기를 살려야 나라가 바로 선다/김근수 전 여신금융협회장·행시 23회

[수요 에세이] 공무원 기를 살려야 나라가 바로 선다/김근수 전 여신금융협회장·행시 23회

입력 2016-06-28 23:18
업데이트 2016-06-29 0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근수 전 여신금융협회장·행시 23회
김근수 전 여신금융협회장·행시 23회
언젠가부터 공직에 근무하는 후배들을 만나면 답답하고 미안한 마음이 든다. 왠지 모르게 풀이 죽어 있고 사기가 많이 떨어져 있는 느낌이다.

공직에 근무하는 ‘장점’이었던 연금수령 수준은 점점 낮아지는 추세이고 퇴직 이후 민간 기업으로의 취업이 제한되는 데다 세종시와 서울을 오가는 이중생활로 심신의 고달픔이 크고 국민들로부터 느끼는 공직에 대한 시선도 싸늘하기 때문이 아닌가 짐작된다.

중앙부처 공무원과 2012 여수세계박람회 사무총장, 최근 금융협회장까지 35년간의 직장생활을 얼마 전에 마친 필자로서는 우리 세대까지는 적당한 존중과 대접, 퇴직 이후 재취업과 보상 등 그나마 좋은 시절에 공직생활을 했다는 서글픈 자괴감이 든다.

그동안 산업화, 민주화가 급속히 이루어지면서 우리 사회가 다원화되고 민간 부문이 엄청나게 발전함으로써 공직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들고 공직의 영향력이 예전만큼 크지 않다는 것은 잘 안다. 그러나 소수 공무원들의 잘못된 행태로 인한 특정 사건이 터질 때마다 언론이나 정치권 등에서 공직자 전체를 싸잡아서 무능하고 무책임한 집단으로 비난하고 공직사회 전체를 규율하는 새로운 제도를 만드는 것은 지나치다는 생각이다.

오죽하면 우리 아이들도 아빠가 공무원으로서 누렸던 혜택과 자부심보다는 공직자이었기에 겪었던 제약과 불이익이 컸다는 피해의식을 갖고 있을까. 특히 재작년 세월호 참사 이후 공직자는 부도덕하고 무능한 집단의 표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른바 ‘신관피아법’에 따라 공직자 출신은 3년간 유관 민간 부문으로의 취업이 제한되고 있으며 오는 9월부터는 밥 먹고 사람 만나는 통상적인 활동조차도 더욱 제약을 받게 되었다.

물론 이와 같이 공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팽배하고 공무원을 규제하는 조치들이 나오게 된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공무원들이 스스로 자초한 측면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유독 공직사회에 있어서만 소수자의 잘못으로 비롯된 문제로 인해 공직자 전체 집단이 욕을 먹고 매도당할 때에는 참담한 심정이다. 대다수의 성실한 공무원들은 지금도 밤늦게까지 에어컨도 작동되지 않는 사무실에서 겨드랑이에 땀이 차는지도 모르는 채 묵묵히 일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공무원들이 자신들에 대한 도덕적 잣대가 민간보다 지나치게 엄격하다고 억울해할 수만은 없다. 공직의 속성상 공무원이 결정하는 행정행위의 영향력과 파급력은 워낙 크고 넓어서 무엇보다도 엄정하고 공정함을 준거의 기준으로 삼아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은 공무원 각자가 올바른 생각을 가져야 그들의 행정행위가 공정하고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될 수밖에 없다. 이것이 우리 사회가 공무원에 대한 일방적인 비난과 질책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며 때로는 공직에 대한 응원과 지원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공자는 무신불립(無信不立), 즉 “신뢰가 없으면 국가가 바로 설 수 없다”고 했다. 국가가 발전하려면 공직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와 응원이 필요하며 또한 공무원들도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부단 없는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주역에서 궁즉변, 변즉통, 통즉구(窮則變, 變則通, 通則久)라고 하였다. “궁하면 변하게 되고, 변하면 통하게 되고, 통하면 오래 간다”는 뜻이다. 무슨 일이든 막다른 골목에 처했을 때 포기하지 않고 변화하면 어려움이 해결된다는 말이다. 지금은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 공무원들이 스스로 변해야 할 때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서 공직이 존중받고 공무원이 인정받는 그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2016-06-29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