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한국어, 유럽 한류의 마중물/연재훈 런던 소아스대 한국학과 교수·런던세종학당장

[기고] 한국어, 유럽 한류의 마중물/연재훈 런던 소아스대 한국학과 교수·런던세종학당장

입력 2016-06-27 18:22
업데이트 2016-06-27 19: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연재훈 런던 소아스대 한국학과 교수·런던세종학당장
연재훈 런던 소아스대 한국학과 교수·런던세종학당장
격세지감. 1989년 1‘0월 필자가 영국 런던 소아스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기 시작했을 때와 지금의 상황을 비교하면 떠오르는 생각이다. 한국학 전공 과정이 처음 개설됐을 때 한국어 전공 학생은 주전공 한 명, 부전공 두 명이 전부였다. 지금은 1학년 학생만 40명이 넘는다. 다른 과목을 전공하면서 한국어에 흥미를 갖고 한국어 강의를 듣는 학생까지 합하면 거의 80명에 육박한다.

최근 유럽에서 한국 드라마나 케이팝이 인기를 얻는 현상을 보면 소아스의 언어 수강생 수에서 한국어가 중국어는 몰라도 조만간 일본어를 따라잡을 수 있겠다는 희망을 품게도 한다. 한국 드라마를 알아듣기 위해, 한국 노래 가사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젊은이들이 한둘이 아니다. 이는 문화의 힘이다.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음악 등에 담긴 역동성이 해외에서 통하고 있다.

언어는 문화의 한 축이다. 그래서 문화 속에서 언어를 익히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특정 언어를 쉽고 빠르게 배우려면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학습을 하는 게 중요하다는 뜻이다. 해외 한국어 보급도 한국 문화 알리기와 같이 갈 수밖에 없다.

해외 한국어 보급 기관인 세종학당이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함께 소개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 문화 소개나 문화 전파는 중립적이고 성숙한 모습으로 하는 게 좋다. 국가 홍보주의나 자화자찬의 문화 우월주의는 생명이 길지 못하고 촌스럽다. 한국의 전통문화를 미사여구로 포장해 너무 아름답게만 소개할 필요도 없다. 문화 전파는 말을 가르치는 게 먼저다. 한식을 세계화한다고 부산을 떨었지만 비용만큼 효과를 보지 못했다. 큰돈을 들이지 않고도 가능한 한국어 교육은 한국을 알리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한국어 교육은 유럽 지역 한류 확산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다.

문화나 언어 전파는 자연스럽게 흘러 들어가는 것이지 돈으로 해결될 문제는 물론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세종학당의 재정적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 특히 서유럽에서 지금의 지원금으로는 한 명의 전임 운영 요원도 고용하기 어렵다. 세종학당과 가장 유사한 운영 형태를 보이고 있는 중국 공자학원과 비교하면 세종학당은 너무 초라하다. 2004년 세계 최초로 서울에 공자학원을 설립한 중국은 공자학원총부를 통해 2015년 총 3억 1085만 달러(약 3730억원)를 지출했다. 이를 바탕으로 세종학당과 같은 성인 대상 해외 중국어 보급기관 공자학원 500곳과 해외 초·중등학교 내 중국어 학습 과정인 공자학당 1000개 등을 운영하고 있다.

반면 현재 57개국 143곳을 총괄 관리하는 세종학당재단의 올해 총예산은 161억원에 불과하다. 공자학원총부 예산의 20분의1에 그친다. 세종학당 한 곳당 지원금도 2억~5억원 수준인 공자학원의 10분의1 정도다.

한국어 보급은 이제 지속 가능한 한류 확산의 길을 닦는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정부의 재정적 뒷받침 등 정책 지원으로 세종학당 등 한국어 보급 기반의 양적 확대와 함께 질적 성장이 이뤄질 수 있기를 바란다.
2016-06-28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