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영국 EU 탈퇴] 일자리 줄고 복지비 늘고 테러 위협… 反이민정서 ‘폭발’

[영국 EU 탈퇴] 일자리 줄고 복지비 늘고 테러 위협… 反이민정서 ‘폭발’

입력 2016-06-24 23:24
업데이트 2016-06-25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국은 왜 브렉시트 택했나

EU 회원국 국적자 비중 4.6% 최고
학교·주택난 등 사회적 문제로 비화
EU 내 낮은 위상·분담금도 ‘반감’

이미지 확대
‘환호’. 런던 EPA 연합뉴스
‘환호’. 런던 EPA 연합뉴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진영을 이끈 보리스 존슨(왼쪽) 전 런던시장이 부인과 함께 23일(현지시간) 런던 북부의 한 투표소에서 투표를 마친 뒤 승리를 확신한 듯 엄지손가락을 치켜들고 있는 모습.
영국이 브렉시트를 선택한 배경으로는 ▲유럽 통합에 회의적인 여론 ▲유럽연합(EU) 내 낮은 위상 ▲EU 분담금 부담 및 과도한 규제 ▲이민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이 꼽힌다. 역사적으로 영국은 대륙의 유럽과는 다르다는 의식도 강하게 작용한 데다 최근 경제적으로 독일에, 정치적 영향력은 프랑스에 밀리는 것도 요인으로 풀이된다.

이 가운데 영국이 43년 만에 EU 탈퇴를 결정하게 한 가장 강력한 동인은 이민 문제다. 극우정당 영국독립당(UKIP)이 EU 탈퇴 지지를 이끌어 내려고 제작한 포스터만 봐도 알 수 있다. 난민 행렬 사진에 ‘한계점’이라는 문구를 적은 선정적 포스터로 반(反)이민 정서를 노골적으로 자극했다.

영국에선 이민자 급증으로 일자리 경쟁이 심화하고 복지 지출이 확대되면서 불만이 커졌다. 이뿐만 아니라 난민·이민자로 위장한 테러범이 일으킨 파리, 브뤼셀 등지의 연쇄 테러로 이민자 배척 분위기가 팽배해졌다.

투표 하루 전날인 지난 22일 보리스 존슨 전 런던시장과 사디크 칸 현 런던시장 등 찬반 진영 측 인사들이 참여한 BBC방송의 공개 토론회에서도 최대 이슈는 이민이었다. 이날 두 진영은 터키의 EU 가입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찬성 측은 인구 7600만명의 이슬람 국가 터키가 EU에 가입하면 영국이 ‘이민자 천국’이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2004년 폴란드, 헝가리 등 동유럽 국가를 포함한 13개국이 새로 EU에 가입한 뒤 자국 내 EU 회원국 출생자 수가 급증하는 경험을 한 영국인들로서는 흘려들을 수 없는 주장이다.

영국의 EU 회원국 출생자는 2004년 149만명에서 지난해 313만명으로 껑충 뛰었다. 총인구에 대비하면 EU 회원국 국적자 비중은 4.6%로 EU 주요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일자리 관련 목적으로 이민을 선택한 인구도 2012년 17만 3000명에서 지난해 9월 29만명으로 뛰었다. 전체 취업자 수(3월 말 현재 3150만명) 가운데 520만명이 영국 외 출신이고, 이 중 220만명이 EU 출신이다. 투표에 앞선 여론조사에서 영국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이슈로 46%가 이민 문제를 꼽았고, 이민이 영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부정적 응답이 45%로 긍정적 응답(29%)을 크게 상회했다.

영국에서 이민은 사회적 문제로도 비화했다. 일자리를 뺏고 임금을 하락시킨다는 불만뿐 아니라 학교가 부족하고 주택난으로 집값이 치솟는 것도 모두 이민자 탓으로 돌리는 분위기다. 경제난과 이민 문제 심화에 대한 불만은 결국 정치권에 대한 실망으로 이어졌다.

24일 런던 킹스크로스역에서 만난 조너선 테일러(43·엔지니어)는 “EU가 아니라 영국 기성 정치에 대한 반감으로 탈퇴 찬성에 표를 던졌다”고 말했다. 그는 양극화를 언급하며 “런던, 케임브리지 등 일부 남부 도시만 부유하고 나머지는 아니다. 이 때문에 나머지 지역 사람들은 브렉시트가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라고 여겼다”고 밝혔다.

런던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서울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6-06-25 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