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영국 EU 탈퇴] 힘겨운 韓경제에 새 악재… 3%대 성장 어려울 듯

[영국 EU 탈퇴] 힘겨운 韓경제에 새 악재… 3%대 성장 어려울 듯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6-06-24 23:24
업데이트 2016-06-25 0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은

외국인 자금 이탈 가속화 우려
대규모 추경 편성 압박 커질 듯
“교역 규모 크지 않아 영향 제한적”


이미지 확대
긴급 경제금융회의. 연합뉴스
긴급 경제금융회의. 연합뉴스 최상목(오른쪽부터) 기획재정부 1차관과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4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대응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브렉시트가 우리 경제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두 나라의 교역 규모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 차원에서 보면 얘기가 전혀 달라진다.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발을 뺀다는 것은 미국, 중국, 일본 등과 함께 세계 경제의 중심축을 이루는 유럽 경제에 급변 사태가 발생했음을 뜻한다. 금융시장과 실물경제는 물론 국제 기축통화인 유로화의 안정성 자체가 취약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이에 대한 국내시장의 우려는 24일 증시 시가총액이 47조원이나 증발한 데서 잘 나타난다.

가장 우려할 만한 시나리오는 외국자본이 안전자산을 찾아 국내시장을 빠져나가면서 금융시장 불안을 심화시키고, 그 영향으로 수출도 타격을 입어 실물경기 위축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 경제의 하반기 경기 추가 하락 가능성은 한층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올해 3%대 성장률 달성은 물 건너갔고, 하반기 경기 부양을 위한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압박이 더욱 커지게 됐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당장 안전자산을 찾아야 하는 영국 등 유럽계 자금은 국내 금융시장 이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영국계 자금은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주식 36조 4770억원어치를 보유하고 있다. 영국에 대한 위험 노출액(익스포저)이 많은 아일랜드(15조 5740억원)와 네덜란드(14조 2850억원)를 합치면 전체 외국인 상장주식 보유액(433조 9600억원)의 15.3%에 이른다. 미국계(172조 8200억원) 다음으로 큰 규모다. 외국인 자금의 이탈 규모와 시기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이 커질 수밖에 없다.

브렉시트의 여파로 영국과 EU 지역 실물경기가 위축되면서 가뜩이나 18개월 연속 감소가 예상되는 우리나라 수출은 더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수출이 감소하고 국내에 투자하고 있는 영국 자본이 상당 부분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외화 유동성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출 부진 속에 브렉시트로 기업과 가계 등 경제주체의 심리까지 얼어붙으면 하반기 경기는 더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경기 부양을 위한 추경 편성 등 재정 보강 규모를 확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당정회의에서 “오는 28일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발표에서 (추경 여부를) 분명히 하겠다”며 추경 편성을 기정사실화했다.

그러나 지레 겁을 먹고 불안해할 것은 없다는 관측도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EU는 재정공동체와 무역공동체의 성격이 있는데, 영국은 재정공동체에서 빠지고 싶어 하는 것이지 무역공동체에서 빠지는 것은 원치 않기 때문에 우리 실물경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도 “우리 경제가 영국과 직접 연결된 부분은 많지 않아 실물 부문까지 전파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이 그렇게 약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6-25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