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광장] 뻔뻔한 사회/박홍기 논설위원

[서울광장] 뻔뻔한 사회/박홍기 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6-06-17 18:00
업데이트 2016-06-17 18: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구의역 9-4 구역에 또 내렸다. 출근할 땐 지나치고 퇴근할 땐 거쳐가는 곳이다. 출근할 땐 창을 통해, 퇴근할 땐 열린 문을 통해 무심코 보았을 공간이다. 지난달 28일 사고가 있기 전까지는 여느 역과 다름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지워지지도 잊혀지지도 않을 상처의 역이 됐다. 9-4 구역의 스크린도어를 중심으로 포스트잇이 빼곡하다. 가려질까봐 겹쳐 붙이지도 않았다. 국화꽃, 컵라면과 수저도 놓여 있다. ‘당신의 잘못이 아닙니다’, ‘안전한 세상 만들겠습니다’라는 등의 글귀들이 가슴에 먼저 닿았다. 19살 김군이 변을 당한 지도 한 달이 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박홍기 수석논설위원
박홍기 수석논설위원
# 부장판사 출신의 최유정 변호사가 며칠 전 연녹색의 반소매 수의를 입고 법정에 들어섰다. 이른바 ‘정운호 게이트’를 촉발시킨 장본인이다. 법복이 아닌 수의 차림의 피고인으로 후배 법관 앞에 섰다. 잘나가던 변호사의 모습은 온데간데없었다. 갈색 단발머리에 다소 수척해 보였다. 생년월일과 거주지를 묻는 질문에 힘없이 낮은 목소리로 대답했다. 직업을 묻자 “변호사입니다”라고 했다. 지난달 27일 구속 기소된 이래 첫 재판이다.

# 부조리극이라는 게 있다. 연극의 한 장르인데 연극 같지 않다. 현실적이지도 논리적이지도 않은 상황이 연출되기 때문이다. 기존의 무대에서 펼쳐지는 관습은 깡끄리 무시된다. 뒤죽박죽이다. 그래서 반(反)연극이다. 사뮈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역시 제목처럼 기다리는 것 이상 사건이 벌어지지 않는다. 고도가 누구인지, 고도가 존재하는지조차 모른다. 상관도 없다. 다만 각자의 처지에서 고도를 간절히 기다릴 뿐이다. 이런 탓에 막이 내려도 극이 끝났는지 실감하지 못하기 일쑤다. 시작도 끝도 없다.

# 구의역 사고도, 최유정 사건도 부조리극 같다. 전에 본 사고이고, 사건인 까닭에서다. 김군의 사고는 안타깝기 짝이 없다. 2인 1조의 근무 수칙은 애당초 지켜질 수 없었고 감독되지도 않았다. 그런데도 일지에는 늘 2인 1조로 기록됐다. 2013년 1월 성수역, 지난해 8월 강남역의 스크린 도어 사고 때도 그랬다. 판박이다. 서울메트로는 사고 직후에 “김군의 잘못”이라고 발표했다가 그나마 사흘 뒤 “서울메트로의 책임”이라고 번복했다. 뻔뻔했다. 일한 지 7개월 된 김군은 묻지도 따지지도 못하고 작업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 정규직만을 꿈꾸며 달리던 ‘미생’이었다.

# 만약이다. 만약에 최 변호사가 경찰서를 찾지 않았다면 사건은 알려지지 않았을 수 있다.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가 최 변호사의 팔목을 비틀지만 않았더라면 ‘그들만의 세계’에서 일어났던 사건으로 남았을 것이다. 최 변호사는 고소장을 냈다. 원인과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히 여기는 법조인으로서의 사고(思考)에 충실한 듯싶다. 자존심의 상처에 집착한 나머지 폭행의 발단인 수임료 50억원은 괘념치 않았다. 들춰지리라고는 아예 여기지 않은 듯싶다. 세상 사람들을 우습게 봤다. 최 변호사의 이성의 간지(奸智),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바로 검찰과 법원를 덮친 정운호 게이트다.

# 김군의 사고 뒤에는 메피아가 있었다. 서울메트로 출신들의 정규직 직원들이다. 월 144만 6000원을 받는 김군과 달리 힘을 가진 전관들의 집합체다. 최 변호사는 자체가 권력이었다. 관피아, 정피아, 군피아 등 집단화된 조직과는 또 다른 전관이었다. 수임료가 최대 수십억원에 달했다. 전관예우 덕이다. 김군의 세상에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돈이다. 힘 앞에서 법은 공평하지 않았다. 김군의 죽음은 적잖은 변화를 가져왔다. 지하철의 안전 업무가 하청에서 직영으로 전환한 데다 동료들은 정규직이 됐다. 최 변호사도 본의 아니게 기여했다. 법조계의 구린 뒷거래를 드러냈고, 실효성 여부를 떠나 전관에 대한 대책을 끌어냈다.

# 부조리극은 다소 침침하고 우울하다. 또 스스로 판단하고 결론을 내리도록 한다. 그러면서도 변화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붙잡고 있다. 망각과 체념이 아닌 의식과 행동의 변화를 믿고 있기 때문이다. 구의역 사고에 포스트잇이 나붙고, 최 변호사의 행각에 여론이 들끓자 변화가 있었다. 각자도생(各自圖生)을 넘어선 사회적 연대와 참여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드러난 문제를 과감하게 고치고 바꿔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게 뻔뻔한 사회의 극복이다. 그게 정도(正道)다.

hkpark@seoul.co.kr
2016-06-18 2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