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길섶에서] 수다의 인류학/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수다의 인류학/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6-05-16 17:56
업데이트 2016-05-16 17: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까운 이들과 미주알고주알 사는 얘기를 나누다 보면 헛헛한 마음이 따뜻해지는 것을 느낄 때가 있다. 수다가 주는 ‘힐링’의 힘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어떤 이들은 여자들의 수다를 아주 소모적인 ‘시간 죽이기’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그런 이들에게 영국의 인류학자 로빈 던바의 ‘사회두뇌이론’을 소개한다. 그가 사람들의 대화 내용을 수년 동안 엿듣고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정치, 종교, 철학 등과 같은 거창한 주제보다는 주로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인류의 두뇌가 알파고와 같은 새로운 과학 기술의 ‘도전’에 쓰이기도 하지만 주로 수다 같은 일에 더 많이 사용된다는 뜻이다.

또 수다는 입으로 하는 ‘털 다듬기’라는 주장도 있다. 원숭이 등 대부분의 영장류들이 서로 털을 만져 주고 이물질을 떼어 주면서 돈독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수다로 여러 사람과 관계를 맺고 유지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뒷담화 능력이 인간의 뇌를 발달시켰다는 얘기다. 사실 스킨십이야 동물도 하지만 뒷담화는 인간 고유의 능력이다. 수다를 그리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6-05-17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