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밥은 줘도 왜 삼태기 거름은 못 줄까/최옥 농협중앙회 서울지역본부장

[기고] 밥은 줘도 왜 삼태기 거름은 못 줄까/최옥 농협중앙회 서울지역본부장

입력 2016-05-02 18:06
업데이트 2016-05-02 18: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옥 농협중앙회 서울지역본부장
최옥 농협중앙회 서울지역본부장
어떤 일을 이루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을 흔히 ‘밑거름’이라고 한다. 밑거름은 본래 씨를 뿌리거나 모종을 심기 전에 주는 거름을 뜻하는 것으로, 이른 봄에 뿌려 놓은 밑거름을 자양분으로 입하 즈음에 농작물이 쑥쑥 자라나기 시작한다.

우리 선조들은 거름을 매우 중요시 여겨 ‘한 사발의 밥은 남을 주어도 한 삼태기의 거름은 주지 않는다’고 했다.

최근 이런 거름 냄새를 도시에서도 맡을 수 있는 공간이 많이 생겼다. 농림축산식품부 ‘도시농업 현황’ 자료에 따르면 도시농업 참여자의 수는 2015년 기준 130만 9000명이다. 도시 텃밭 면적도 850㏊이다. 지방자치단체마다 도시농업 전문가 과정을 운영하고 도시농업 축제들을 진행하는 것만 보아도 도시농업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았음을 알 수 있다.

도시농업은 선진국에서 좀 더 활성화돼 있다. 도시 텃밭의 형태로 독일에는 클라인가르텐, 영국에는 얼로트먼트, 미국 뉴욕에는 옥상에 텃밭을 둔 빌딩인 루프가든이 있다. 백악관 안주인인 미셸 오바마가 키친가든에서 채소와 허브를 키우며 백악관 인근에 농민 장터를 개설한 일은 도시농업의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교육·문화적 가치를 높게 인정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높아질수록 좋은 먹거리를 찾는 인구는 늘어나게 되고, 농식품 산업 분야의 규모는 커진다. 농업이 선진국으로 가는 필요조건은 아니지만 농업이 발달하지 않은 선진국이 없는 것은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는 우리 선조의 가르침처럼 농업이 모든 산업의 근간임을 보여 준다.

또한 모바일 기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미디어 강박증에 시달리고 ‘속자생존’(速者生存) 논리에 지배당한 도시민이 휴대전화 대신 호미를 들고 이웃과 함께하는 모습은 그들이 농사의 느림과 땀을 통한 치유를 얼마나 원했던 것인가를 역설적으로 보여 준다. 봄에 씨앗을 뿌리고 가을에 내가 거두어 내는 농산물은 번개 같은 배송으로 받아 본 그것보다 훨씬 값질 것이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농촌 마을에 아기가 태어나면 기삿거리가 되는 세상에 살고 있다. 따라서 흙에서 자라나지 않은 젊은이들에게 막연히 ‘신토불이’(身土不二)식의 농업 사랑을 호소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렇게 변화된 상황에서 국민에게 사랑받는 농업이 되기 위해서는 유소년 때부터 농업의 가치를 알리는 일이 중요하다. 우리 농산물의 맛과 우리 농업의 가치를 성장기부터 자주 접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천해야 한다.

서울농협이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어린이들이 농업에 친근감을 갖고 채소에 대한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친환경 농업체험 교육장을 2009년부터 운영해 연간 5000명의 어린이에게 농업 체험 기회를 제공했다.

도시농업을 통해 손수 농산물을 가꾸어 본 어린이는 작물을 재배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고 우리 농업을 사랑하는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것이다. 아울러 도시민은 지친 심신을 회복함은 물론 농민의 마음을 더 많이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시농업이 전 국민의 가슴에 농심(農心)을 채우는 밑거름이 되길 기대해 본다.
2016-05-03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