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균미의 빅! 아이디어] ‘여성 국회의원 51명’이 의미를 가지려면

[김균미의 빅! 아이디어] ‘여성 국회의원 51명’이 의미를 가지려면

김균미 기자
입력 2016-04-19 22:40
업데이트 2016-04-19 22: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대 총선에서 여성 후보들이 거둔 성과를 놓고 긍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룬다. 일단 수치상 국회의원 300명 가운데 17%인 51명이 당선됐다. 역대 최다다. 질적으로도 한 단계 높아졌다는 평가를 어렵지 않게 듣는다. 근거는 지역구 당선자가 26명으로 역대 최다이고,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5선 지역구 의원이 된 추미애 의원을 비롯해 다선 의원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김균미 편집국 부국장
김균미 편집국 부국장
지역구에 출마한 여성 후보자 98명 가운데 26명이 당선됐다. 당선율 26.5%, 4명 가운데 1명이 국회의원 배지를 달게 됐다. 처음으로 20명이 넘었다. 이는 지역구 공천 단계에서 ‘지역구 30% 여성 공천’ 약속 이행은커녕 여성의 공천 비율이 10%에도 못 미쳐 ‘여성 공천 학살’이라는 말이 나오던 상황에서 거둔 성과라 더욱 빛을 발한다는 평가다. 하지만 여전히 전체 지역구 253개의 10%에 불과하다. 특히 10개 지역구에서 여성 후보들끼리 맞붙어 절반은 낙선이 불가피했다.

그 밖에 이번 총선에서 거둔 여성 후보들의 성적표를 살펴보면 전체 51명 가운데 초선 의원이 27명으로 53%다. 전체 초선 의원 비율인 44%보다 높다. 비례대표 의원수가 많았다는 얘기다.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지역구에 25명이 출마해 17명이 당선됐다. 반면 새누리당은 16명의 여성 후보 중 6명만 당선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6명, 경기 7명으로 대다수였고, 전북·광주·경북이 1명씩으로 수도권 집중 현상이 두드러졌다.

비례대표 출신 의원들의 엇갈린 성적도 눈에 띈다. 더불어민주당의 남인순·진선미·한정애 의원이 지역구에 도전해 당선된 반면 새누리당에서는 비례대표 13명 중 도전장을 던진 10명이 모두 공천에서 탈락해 한 명도 본선에 오르지 못했다. 전문성을 토대로 정치 경험을 쌓아 재선 의원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비례대표 제도가 제 역할을 못 하고 있다는 반증일 수 있다.

이 시점에서 과연 이번 총선에서 여성 후보들이 거둔 ‘17%’라는 숫자가 유의미한지 반문하게 된다. 이에 대해 함인희 이화여대 교수는 ‘자신감’의 저자인 조직사회학자 로자베스 모스 캔터의 이론을 들어 설명하는데 솔깃해진다. 캔터는 어느 조직에서든 특정 집단이 19%를 차지하게 되면 소수자로서의 지위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한다. 이번 총선 결과 여성의원 비율이 19%에는 못 미치지만 ‘구색 맞추기’ 수준은 넘어섰다고 함 교수는 긍정적으로 본다. 또 이 단계에 이르면 개인보다 개인이 속한 집단의 대표 주자로 인식되던 것에서 벗어난다고 설명한다. 다시 말해 여성 국회의원이 아니라 그냥 국회의원으로 인식되는 단계라는 분석이 관심을 끈다.

캔터 교수의 분석이 맞다면 그만큼 여성 의원들에 대한 기대와 요구 수준도 달라지고 높아질 수밖에 없다. 다양한 경험과 전문적 식견을 보태 보다 현실성 있는 저출산·고령화, 여성·아동·청년·소외계층 대책을 도출해 내는 건 기본이고, 플러스 알파를 기대한다.

17대 국회의원을 지낸 신명 한국여성의정 사무총장의 조언이 귓가에 맴돈다. “여성 정치인을 키우려면 당선 가능한 지역에 공천하도록 당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하고, 자질을 갖춘 정치 신인을 적극 발굴해야 한다”는. 동시에 여성 의원들도 어떤 일을 할 수 있고 어떤 역할을 요구받는지 정확히 파악해 전문성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도 허투루 흘려듣기에는 아깝다.

우리는 여성 정치인들 간의 연대, 팀플레이를 강조하는 소리를 종종 듣는다. 그렇다고 올드보이들의 폐쇄적인 클럽 흉내를 내라는 건 아니다. 이슈별로 얼마든지 연대해 목소리를 키울 수 있다. 벌써부터 3당 체제에 따른 국정 차질을 우려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럴 때 여성 국회의원 51명이 갈등과 대립 구도를 깨는 균형추 역할을 한다면 어떨까. 현실 정치를 전혀 모르는 소리라고 손사래 칠 게 아니라 ‘여성 국회의원이 늘어나니 뭔가 다르긴 다르다’는 인식을 유권자들에게 심어 줄 수 있는 기회로 삼으면 좋겠다.
2016-04-20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