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World 특파원 블로그] 한국 민주주의 직접 본 中 젊은층 “한국 대표는 유권자 위해 일하나”

[World 특파원 블로그] 한국 민주주의 직접 본 中 젊은층 “한국 대표는 유권자 위해 일하나”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3-30 18:12
업데이트 2016-03-30 2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외국민 투표 지켜본 30대 “중국 선거는 소수의 전유물”

소중한 한 표 행사한 교민들 “조국 위해 뭔가 한 것 같아요”

이미지 확대
재외투표 113개국서 새달 4일까지 실시
재외투표 113개국서 새달 4일까지 실시 20대 총선을 2주 앞둔 30일 중국 베이징 주중 한국대사관에 마련된 재외투표소에서 재외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재외투표는 이날 뉴질랜드 오클랜드 분관을 시작으로 다음달 4일까지 113개국 198개 재외투표소에서 실시된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흰색 투표용지에 나란히 적힌 국회의원 후보자 3명의 이름이 정겹게 보였다. 14개 정당 이름을 넣느라 길이가 33.5㎝로 늘어난 초록색 비례대표 투표용지도 고국에서 온 편지처럼 반가웠다.

4·13총선 재외투표가 시작된 30일 아침. 베이징시 차오양구 주중 한국대사관에 마련된 투표소를 찾은 교포들의 심정도 비슷한 듯했다. 칭화대에 다니는 송찬주(23)씨는 “중국에 유학 온 지 10년 됐는데, 이번이 첫 투표”라면서 “우리나라를 위해 뭔가를 한 것 같아 뿌듯하다”고 말했다. 선후배 5명과 함께 온 중의대 석사과정의 김수담(24)씨 역시 첫 투표였다. 중국 생활 11년째인 그는 “선거가 없는 중국이라 그런지 기분이 묘하다”면서 “민주주의를 다시 생각하게 됐다” 말했다.

넓디넓은 중국에 재외투표소는 고작 10곳이다. 대사관과 총영사관 외에는 투표소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칭하이, 신장, 티베트 등 우리나라 공관이 없는 곳에 사는 교민들은 사실상 투표가 불가능하다. 중국 정부가 한국에만 까다로운 것은 아니다. 재외투표를 실시하는 모든 나라가 투표소 설치 확대를 요청하고 있지만, 중국은 ‘절대 불가’ 입장이다. 중국에 외국의 투표소는 공포의 대상이다. 인민들이 비밀 투표로 국가주석과 성 서기를 뽑는다? 상상 자체가 악몽이다.

중국 젊은이들은 한국의 선거를 어떻게 생각할까? 대학 시절 까다로운 심사를 거쳐 공산당에 들어간 여성당원인 톈리쥔(田梨君·28)은 “작은 한국에서는 선거가 가능할지 몰라도 중국에서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역사적으로 수많은 난()을 겪었고, 근대 들어 공화정도 시행해 본 중국이 통일국가를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공산당 영도뿐”이라는 게 이 젊은이의 확신이었다. 톈리쥔은 “체제의 문제를 떠나 ‘웨이런민푸우’(爲人民服務·인민을 위한 복무)를 얼마나 실천하느냐가 중요한데, 중국 공산당은 100년 동안 그 길을 걸었고, 앞으로 100년 동안 더 지속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스딩(石丁·32)은 “유권자가 직접 대표를 뽑는다면 대표가 유권자의 말에 귀를 기울일 가능성은 크다”면서도 “한국의 대표들은 유권자를 위해 진심으로 일하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한국은 선거를 통해 사회를 변혁한 적이 있느냐”고 묻기도 했다. 중국에서도 지역별로 인민대표를 뽑는 선거가 있긴 있다. 스딩도 대학 때 딱 한 번 투표해 봤지만, 자신이 찍은 사람이 누구인지도 몰랐다고 했다. 그는 “중국인 대다수가 투표에 무관심하기 때문에 선거는 소수의 전유물”이라면서 “한국에서도 참여가 저조하면 중국처럼 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재외선거를 할 수 있는 대한민국 국민은 중국에만 29만 5479명이 있다. 이번에 투표 신청을 한 사람은 2만 1637명(7.32%)에 불과했다. 총선 재외투표는 다음달 4일까지 113개국 198개 재외투표소에서 진행되며, 재외투표를 신청한 유권자는 15만 4217명이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3-31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