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정치적 집단 따돌림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조성호 가톨릭대 심리학과 교수

[열린세상] 정치적 집단 따돌림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조성호 가톨릭대 심리학과 교수

입력 2016-03-24 23:36
업데이트 2016-03-25 0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성호 가톨릭대 심리학과 교수
조성호 가톨릭대 심리학과 교수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첫해부터 국민대통합위원회를 출범시켰다. 같은 해 행해진 5·18 민주화운동 기념사에서는 아픔과 지역을 넘어 다 같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역설하기도 했다. 화합과 통합이 국정 운영의 핵심 철학이 될 것임을 임기 초반부터 분명히 밝힌 것이다.

그런데 이와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일들이 집권 여당에서 벌어지고 있다. 집권 여당의 공천 잡음을 두고 하는 말이다. 세간에는 공천 학살이니 피의 숙청이니 하는 무시무시한 말들이 떠돌기도 하는데, 아군과 적군에 대한 획일적인 편 나누기와 반대자에 대한 무지막지한 적대의식이 배후에 깔려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흔히 학교나 회사에서만 따돌림이 일어나는 것으로 아는데, 꼭 그렇지는 않다. 정치집단에서도 따돌림이 발생한다. 그것이 다른 따돌림과 차이가 나는 점은 약자가 아니라 강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정치적 따돌림은 상대방의 도전에 강한 위협을 느낄 때 작동된다. 보통의 피해자들이 순응하거나 무기력한 데 반해 정치적 따돌림의 대상자들은 그렇지 않다. 이들은 독립적이고 자신에게 충실하며 관습적이지 않은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가해자들은 타인에 대해 요구하는 게 많고 존중심이 약하며 보복 성향이 높은 경향이 있다. 겉보기와 달리 가해자들이 자신에 대한 확신이 그리 강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 대목이다. 자신의 정치이념이나 능력에 대한 회의감이 내적으로 팽배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회의감이 부각돼 위협이 감지되면 특정인을 희생양 삼아 자신을 정당화하려는 시도가 행해질 수 있다. 자기 정당화에 대한 욕구가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상대방에 대한 공격 행위가 더 가혹해질 것임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정치적 따돌림의 경우 얼마든지 정당화가 가능하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권력이 자기편에 있고 잘잘못을 공정하게 판가름할 제3의 권위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따돌림이 정의이자 당위라는 가해자 측의 주장이 쉽사리 반박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언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결국에는 국민들이 최종 심판관 역할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집권 여당의 공천 잡음이 치졸한 정치적 따돌림의 부산물이라고 믿고 싶지는 않다. 증거들이 명백해도 눈감아 버리고 싶다. 그들에 대한 일말의 믿음마저 꺾어 버리기에는 우리가 처한 현실이 너무 우려스럽기 때문이다. 지난 10일 한국경제연구원이 한 일간지와 공동으로 실시한 ‘경제심리에 대한 국민 의식조사’에서 경제 회복에 5년 이상 걸릴 것이라는 답변이 47.3%로 가장 많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우리나라 경제 현주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에서도 51.2%의 응답자들이 한국 경제의 나이를 50대로 규정했다. 국민들의 반수가량이 우리나라의 경제 활력 수준을 낮게 보아 장기적인 경제 불황을 예감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는 충분히 짐작 가능하다. 앞서 소개한 한국경제연구원의 조사에서 경제 회복의 걸림돌이 국회라고 응답한 사람들이 44.4%로 가장 많았다. 대통령 직속 국민대통합위원회에서 지난해 12월 발표한 ‘2015 국민통합 국민의식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국민 통합을 가로막는 주요인으로 정치권 갈등을 들었다. 경제 회복과 국민 통합의 최대 걸림돌로 정치권이 지목된 것이다.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은 인터뷰에서 해불양수(海不讓水)라는 말을 좋아한다고 말한 바 있다. 바다는 어떤 물도 마다하지 않고 받아들여 거대한 대양을 이룬다는 뜻이라고 한다. 정치권, 특히 집권 여당에서 공천을 주도한 인사들이 새겨들어야 할 말이다.

올해 설 명절에 각계각층에 전해진 대통령 선물은 대추와 버섯, 멸치였다. 각각 충북 보은, 전남 장흥, 경남 통영의 특산물이다. 화합과 통합에 대한 대통령의 인식이 변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대목으로 이해하고 싶다. 배신 정치의 심판을 거듭 강조한 대통령의 진짜 의중이 정치적 다양성에 대한 포기가 아니라, 자신의 정치적 소신을 동료들과 사전에 조율하지 못하고 홀로 독야청청(獨也靑靑)하려 한 후배 정치인에 대한 애정 어린 질책이었기를 바란다.
2016-03-25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