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보다가 지친다’ 요즘 드라마 갈수록 길어지는 이유는?

‘보다가 지친다’ 요즘 드라마 갈수록 길어지는 이유는?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6-03-01 17:08
업데이트 2016-03-01 17: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딸 금사월 전인화
내딸 금사월 전인화
 ‘요즘 드라마는 기본이 6개월?’

 최근 안방극장에 40~50부작에 이르는 긴 호흡의 장편 드라마가 갈수록 많아지면서 이에 따른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중장년층을 겨낭한 장편 드라마는 흥행 시 광고 수입을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방송사 입장에서는 유리하지만 무리한 늘리기와 내용 전개로 시청자들의 피로감이 높아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28일 51회를 끝으로 막을 내린 ‘내 딸 금사월’이 대표적이다. 신득예(전인화)의 복수극이라는 단순한 플롯을 50부작에 담으려다 보니 결정적인 순간에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등 답답한 전개로 ‘고구마’ 드라마라는 별명을 얻었다. 주인공인 금사월은 실종되고 주오월이 사건의 핵심 인물로 부상하는 등 무리한 전개가 이어졌다. 코미디로 주위를 환기시키고 과장된 막장 요소로 매회 자극을 주는 전략을 취했지만 오히려 시청자들의 피로감은 높아졌다.

 최근 41부로 막을 내린 KBS 사극 ‘객주 장사의 신 2015’도 주인공 천봉삼이 진정한 보부상으로 거듭나는 모습을 그리겠다는 당초 기획 의도와 달리 늘어지는 전개로 시청자들로부터 “대체 장사의 신은 언제 나오는 것인가”라는 불만이 이어졌다. 원작 소설의 방대한 양을 제대로 압축하지 못하고 자극적인 멜로 라인으로 눈길을 끌려고 하다 보니 본말이 전도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미지 확대
MBC ‘화려한 유혹’
MBC ‘화려한 유혹’
현재 방영 중인 MBC 월화 드라마 ‘화려한 유혹’도 복수를 위해 아버지뻘 되는 총리와 결혼한 여주인공 은수(최강희)의 스토리가 충격을 주면서 반짝 인기를 끌었지만 지난한 복수극만으로 50부작을 끌고 가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주말 50부로 종영한 SBS ‘애인 있어요’의 경우도 극 초반 밀도 있는 전개와 배우들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지만 6개월 동안 시청자층이 일정하게 이어지지 못해 5%대 시청률로 막을 내렸다.

 지상파에서 긴 호흡의 장편 드라마가 늘어나는 이유는 비용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드라마는 초기 기획이나 제작에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반면 일단 시스템화되면 고정적인 지출이 감소해 오히려 전체적인 제작비는 줄어들게 된다. 세트비나 의상비가 많이 들어가는 사극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광고 수익은 물론 새로운 드라마 기획에 대한 부담감도 줄어든다. MBC가 월·화 밤 10시대에 ‘이산’, ‘기황후’ 등 50부작 사극을 지속적으로 배치해 쏠쏠한 재미를 본 것이 대표적인 예다.

 작가나 중견 배우들도 장편 드라마는 뿌리치기 어려운 제안이다. 한 연예기획사 대표는 “중견 배우들이나 작가 역시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되기 때문에 선호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새로운 기획보다 시청률만 의식한 장편 드라마는 장기적으로 지상파 드라마의 질을 낮출 것이라는 위기감도 팽배하다. MBC 드라마국의 고위 관계자는 “아무리 긴장감이 있는 드라마라도 50부작이 되면 내용이 반복되고 집중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고 최근 시청자들의 패턴도 변하고 있어 장편 드라마에 대한 고민을 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들도 공급자 위주의 마인드로 횟수만 늘리는 장편 드라마는 전체적인 질을 떨어뜨린다고 입을 모은다. 드라마 평론가 공희정씨는 “자극의 강도만 높일 뿐 새로운 기획력이 없는 장편 드라마는 시청자들의 피로감만 가중시킨다”면서 “콘텐츠가 넘쳐나는 다매체 시대에 시청자들의 라이프 사이클에 맞지 않는 긴 호홉의 드라마보다는 다양한 길이의 작품으로 경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