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종로의 아침] 전기차와 인간주의/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세종로의 아침] 전기차와 인간주의/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6-02-17 18:12
업데이트 2016-02-17 2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제주 우도에 ‘4발이’(ATV)가 오간 적이 있었다. 매연과 소음이 심했던 탓에 주민은 물론 관광객들에게도 골칫거리였다. 지금은 우도에서 ‘4발이’를 볼 수 없다. 지난해 말 섬에서 완전히 퇴출됐기 때문이다. 스쿠터 등의 ‘내연기관’들 또한 점차 전기자전거 등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가파도에선 벌써 모든 ‘내연기관’이 사라졌다. 전기를 이용한 탈것들만 오간다.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가 최소한 가파도엔 없는 셈이다.

2030년께 제주 전체를 ‘탄소 제로 섬’으로 만들려는 계획도 진행 중이다. 2012년 제주의 전기차 역사가 시작된 이래 해마다 정부 보급 물량의 절반 가까운 양이 제주에 배정된다. 매우 고무적인 조치들이다. 한데 천려일실이랄까. 전기차 인프라가 급속히 확대되는 과정에서 인간에 대한 배려가 소홀해졌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는 궂은 날에 전기차를 타 보면 알게 된다.

지난주 제주 출장 때 일이다. 전기차를 타고 제주를 돌아볼 기회였다. 한데 궂은 날씨가 문제였다. 이틀 내내 장대비가 내렸다. 우산을 써본들 물에 빠진 생쥐꼴을 면하기 어려울 정도의 비바람이었다. 어쩌랴. 비 쫄딱 맞으며 충전소 찾아다닐 수밖에. 그런데 충전기는 달랐다. 완벽한 형태의 비가림 설비 안에 ‘모셔져’ 있었다. 이때만 해도 그러려니 했다. 하지만 차 안에 비치된 안내 책자를 보면서 눈에서 ‘스파크’가 일기 시작했다.

책자에 적힌 주의 사항을 요약하면 젖은 손으로 충전 커넥터를 넣거나 빼지 말고, 충전 케이블 연결할 때는 물이나 눈 위에 서지 말라는 것이다. 한데 어떻게? 충전 커넥터가 차량 외부에 있는데 어떻게 비를 맞지 않고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란 건가.

돈내코 야영장의 경우 충전기 앞에 물이 흥건해 발목까지 잠길 지경이었는데 어떻게 물 위에 서지 말고 충전을 하란 얘긴가. 차량에 전기가 충분하다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꼼짝없이 위험을 무릅쓰고 충전을 ‘감행’할 수밖에 없지 않은가.

제주엔 연중 100일 안팎 비가 내린다. 2박 3일 일정으로 제주를 찾을 경우 하루 이상은 궂은 날씨와 만나게 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에 대한 대비도 했어야 옳다. 가장 좋은 건 정차 공간 위에 지붕을 씌우는 것일 터다. 그도 아니면 최소한 고인 빗물 위로 발을 딛고 설 수 있도록 비전도체로 만든 발판이라도 만들었어야 했다. 물론 각종 전기 설비에 2중, 3중의 안전장치는 해 뒀을 거라 믿는다. 그래도 안내 책자에 여러 주의 사항을 적시한 것은 미구에 발생할지도 모를 안전사고에 대비하자는 뜻 아닌가. 그렇다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들이 뒤따랐어야 했다.

제주에 전기차만 오가도록 하겠다는 것은 참으로 인간적인 조치다. 한데 하드웨어들에 인간미가 모자라 보인다. 어느 정도 이해는 된다. 자동차 수리 업체, 주유소 등 내연기관으로 먹고사는 이들 보듬으랴, 전기차 인프라 갖추랴 무척 바쁠 터다. 그럴수록 돌아가라 했다. 전기차, 충전기 수량을 늘리는 것에만 급급하지 말고 사람에 대해 좀 더 많은 고려가 이뤄져야 한다. 특히 안전에 관해서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angler@seoul.co.kr
2016-02-18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