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北, 전기 자체 공급 땐 단수 해결돼

北, 전기 자체 공급 땐 단수 해결돼

류찬희 기자
류찬희 기자
입력 2016-02-12 22:24
업데이트 2016-02-12 2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단 11년 만에 단전·단수 안팎

2005년 3월 북한 개성공단 시범단지에 처음 전력을 보내기 시작한 이후 11년 만에 완전 단전이 이뤄졌다. 하지만 단수는 전기만 넣으면 풀릴 수 있는 상황이다. 북한의 갑작스러운 추방 조치로 한국수자원공사 직원들이 수돗물 취수·정수시설을 폐쇄하거나 봉인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전, 원격조종으로 단전… 폐쇄 수순

산업통상자원부는 우리 측 인력이 모두 돌아온 지난 11일 밤 11시 53분을 기해 개성공단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전면 중단했다고 밝혔다. 2013년 북한의 개성공단 폐쇄 때도 전력 공급은 끊기지 않았다. 평소 10분의1 수준인 3000㎾ 안팎의 전력을 공급해 개성공단 내 관리동과 사무동의 전등을 밝히고 정수장을 돌릴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이번엔 한국전력 파주변전소에서 원격조종을 통해 단전을 실행했다. 한전 관계자는 12일 “북한과 우리는 전압이 달라 당장 북측이 평화변전소 시설을 이용할 수 없다”면서 “개성공단 내 모든 시설에 전기가 완전히 끊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전은 2007년 개성공단 내에 평화변전소를 준공하고 59년 만에 송전 방식으로 북측에 전력을 공급해 왔다. 한전은 당시 350억원을 들여 개성공단 송·변전 설비를 건설했다. 지금 잔존 가치는 216억원 수준이다. 한전은 지난해 연간 총 1억 9100만㎾h의 전력을 124개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공급했다. 이 가운데 산업용이 95.3%를 차지했고 일반용(4.3%), 가로등(0.2%), 사택 등 주택용(0.1%) 순이다. 일반 개성시민이 사용하는 전기와는 무관하다.

●개성시민 최대 4만명 사용 수돗물 끊겨

개성공단에 공급하는 수돗물은 전기와 달리 남쪽에서 생산된 물을 관로를 통해 공급하는 게 아니라 개성 북쪽 월고저수지에서 물을 끌어온 뒤 공단 내 정수장을 거쳐 공단과 개성시에 대 주는 시스템이다. 개성공단에 하루 7000t, 개성시에는 1만t을 공급했다. 개성시민 2만 4000~4만명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취수·정수에 필요한 설비는 수자원공사가 설치했고 이를 가동시키는 데 필요한 동력은 한전이 공급한 전기를 이용했다.

취수·정수 설비는 공단에 진출한 기업들의 생산 설비와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옮길 수 있는 시설이 아니다. 단전은 남측이 간단하게 조작, 조치할 수 있지만 수돗물을 중단시키기 위해서는 시설물을 폐쇄·봉인해야 하는데 간단하지 않다. 한전이 공급하는 전기가 끊겨 당장 가동은 중단됐지만 북측이 전기만 공급하면 언제든지 가동할 수 있다. 수자원공사는이어 “일반 가정용 전기가 아니라 순간 전압이 최소한 300㎾는 확보돼야 정수 시설을 가동할 수 있는데, 북한이 당장 전기 공급을 하는 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6-02-13 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