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홍콩 H지수 7,500 붕괴…ELS 4조원 원금손실 구간 진입

홍콩 H지수 7,500 붕괴…ELS 4조원 원금손실 구간 진입

입력 2016-02-12 17:44
업데이트 2016-02-12 17: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日 5% 폭락, 韓 서킷브레이커 발동…‘아베노믹스 무용론’

한국 주가연계증권(ELS)의 기초자산으로 많이 쓰는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SCEI·H지수)가 7,500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약 4조원어치의 주가연계증권(ELS)이 추가로 원금손실(녹인) 구간에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

12일 오후 4시59분 홍콩 H지수는 마감을 1분 남긴 상황에서 7,500선을 깨며 7,498.81까지 떨어졌다. 이후 소폭 회복했지만 전날보다 1.99% 내린 7,505.37에 거래를 마쳤다.

국내에는 H지수를 기초 자산으로 한 ELS가 많아 H지수 폭락 사태마다 ELS 원금 손실에 대한 우려가 짙어졌다.

금융당국은 H지수가 7,500대까지 하락하면 원금손실 구간에 진입하는 원금이 약 4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향후 H지수가 7,000선으로 떨어지면 약 7조원어치가, 6,500까지 하락하면 약 11조원어치가 원금손실 구간에 진입하게 된다.

홍콩 항셍지수는 전날보다 1.22% 내린 18,319.58에 마감했다.

일본 증시도 장중 5% 폭락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일본 도쿄증시의 닛케이평균주가(닛케이225) 지수는 전날보다 4.84% 떨어진 14,952.61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 2014년 10월21일 14,804.28에 마감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닛케이 지수는 개장하자마자 급락세에 들어갔으며 15분 만에 15,000선을 깼다. 한 때 5% 이상 떨어졌다가 가까스로 회복해 4%대 하락으로 마무리했다.

토픽스 지수는 5.43% 떨어진 1,196.28에 마감했다. 이 역시 2014년 10월17일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일본 증시에서는 해운, 금융, 증권주가 하락세를 이끌었다.

특히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도입 이후로 금융주가 타격을 입으면서 노무라홀딩스와 다이와증권의 주가가 ‘아베노믹스’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노무라홀딩스의 주가는 이날 9.2% 하락해 주당 446.6엔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집권할 무렵인 2012년 12월21일 당시 주가보다 낮다.

다이와증권 주가는 8.2% 떨어진 591.1엔에 마감해 2013년 4월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 때문에 아베 정권이 야심 차게 추진해 온 아베노믹스가 효력이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 증시는 주가 급락으로 주식매매 일시정지까지 발효됐다.

이날 코스닥이 오전 11시54분 8.17% 폭락한 594.75까지 떨어지면서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돼 20분간 모든 종목의 거래가 중단됐다.

코스닥은 거래 재개 이후 회복돼 6.06% 하락한 608.45에 마감했다.

코스피는 오전 11시58분 코스닥과 함께 출렁이면서 2.34% 떨어진 1,817.97까지 추락했다가 1,835.28으로 회복 마감했다.

전 세계 증시가 크게 흔들리는 상황에서 개성공단 가동 중단과 북한의 남측 인원 추방 조치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9.2원 급등한 1,211,7원에 마감했다.

원/엔 재정환율은 오후 3시 현재 100엔당 1,077.64원으로 전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0.29원 올랐다. 이는 2013년 11월 13일(오후 3시 기준 1,078.32원) 이후 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다.

이외에도 호주의 S&P/ASX 200지수는 전날보다 1.16% 내린 4,765.35에 마감했다.

홍콩의 항셍지수는 오후 4시7분(한국시간) 현재 1.05% 내린 18,351.81에, H지수는 1.82% 내린 7,518.67에 거래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