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2015 개정 고교 교육과정과 성공/홍원표 연세대 교육학 교수

[기고] 2015 개정 고교 교육과정과 성공/홍원표 연세대 교육학 교수

입력 2016-02-11 22:46
업데이트 2016-02-11 22: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와 경제적 수준이 비슷하거나 앞선 나라들의 학교를 방문해 보면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찾을 수 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사실 우리나라의 학교와 거의 비슷하지만 고등학교는 상황이 다르다. ‘아! 우리와는 뭔가 근본적으로 다르구나’ 하는 느낌을 받게 된다.

이미지 확대
홍원표 연세대 교육학 교수
홍원표 연세대 교육학 교수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에 하나가 1학년을 마친 후 소위 말하는 문·이과로 학생들을 나누는가의 문제이다. 스웨덴의 고등학교들 역시 계열을 나누지만 그 종류가 무려 18가지에 이른다. 반면 미국이나 캐나다의 고등학교들은 계열을 나누는 대신 다양한 선택과목을 제공한다.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나 적성을 고려하여 스스로 과목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사실 문·이과 양분 체제를 유지하는 대표적인 국가는 동북아 3국인데, 중국은 2013년에 ‘문·이 불분과(不分科)’ 정책을 도입하였으며, 일본에서도 이 제도의 한계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학의 전공이 수백 개에 이르는 상황에 문·이과 체제는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를 길러내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지난해 9월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발표한 바 있다. 새 교육과정에 따라 고등학교에도 여러 가지 변화가 있지만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문·이과 양분 체제의 극복이라고 할 수 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오랜 숙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전기가 마련된 것이다. 이를 위해 새 교육과정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공통과목을 이수한 후 각자 진로와 적성, 성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과목들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으며 2018년에 고 1학년부터 적용되어 2021학년도 수능(2020년 11월 시행)부터 대입과 연계될 예정이다. 그러나 새 교육과정은 저절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문·이과 구분을 초월하는 교육과정이 실제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면밀한 검토와 사전 준비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첫째, 교육부는 무엇보다 2021년도 대입 전형의 기본 방향을 조기에 발표하여 학교 현장의 혼란을 덜어주어야 한다. 여기에는 학생부 반영 방식과 비중, 선택과목 활성화를 위한 내신 산출 방식 등에 대한 변화가 불가피하다. 더불어 공통과목 중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담당할 교사를 준비시켜 주는 한편, ‘과학탐구실험’에 필요한 설비가 확보되어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둘째, 단위학교 차원에서도 여러 준비와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 적용 방식을 찾아야 할 것이다.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수강 신청, 분반, 교실 배정 등을 조정해 주는 온라인 수강 신청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지금보다는 다양한 크기의 교실, 공강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홈 베이스 등 시설에 대한 검토도 요구된다. 즉흥적이고 파편화된 선택을 방지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과목 선택을 지도하고 안내해줄 전문가 양성도 필요하다.

이런저런 준비를 생각해 보면 결코 시간이 넉넉한 것이 아니다. 지금부터라도 면밀한 검토와 준비를 통해 개정 교육과정이 고등학교에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2016-02-12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