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담배 끊었더니, 이번엔 보조제 니코틴 껌 중독…

담배 끊었더니, 이번엔 보조제 니코틴 껌 중독…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6-01-10 17:16
업데이트 2016-01-11 1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담배 대용 니코틴 껌 끊으려면

하루에 담배를 두 갑 가까이 피우던 직장인 최모(36)씨는 3년 전 독하게 마음먹고 담배를 끊었다. 의지만으로는 흡연 욕구를 참기 어려워 약국에서 금연보조제인 니코틴 껌을 구입해 담배 생각이 날 때마다 씹었다. 턱이 아프도록 니코틴 껌을 씹은 덕에 최씨는 일단 금연에 성공했다. 하지만 니코틴 껌은 끊지 못했다. 이번엔 껌 속 니코틴에 중독된 것이다. 최씨는 3년째 니코틴 껌을 씹고 있다.

이미지 확대
최씨는 “니코틴 껌이 1만원에서 1만 5000원 정도로 비싸다 보니 니코틴 껌을 사는 데 한 해 150만~200만원을 썼다”고 말했다. 3년간 500만~600만원이 그야말로 ‘껌값’으로 나갔다.

담배를 피울 때보다는 몸이 많이 좋아졌지만, 하루에 15알 이상 씹다 보니 가슴 두근거림 증상이 심했다. 스트레스를 받아 껌을 빨리 씹으면 두통과 현기증도 나타났다. 담배는 니코틴 껌으로 끊었지만, 니코틴 껌은 뭐로 끊어야 할지 고민이다.

니코틴 껌 중독도 어차피 니코틴 중독이니 의지로 끊지 못한다면 금연 약을 쓸 수밖에 없다. 니코틴 껌 중독 가능성을 줄이려면 되도록 껌을 천천히 씹어야 한다.

명승권 국립암센터 가정의학과 교수는 “니코틴이 체내로 빨리 들어올수록 그 맛에 중독된다”며 “니코틴이 뇌에 작용해 도파민이 분비되면서 기분이 좋아지는 ‘보상’이 빨리 이뤄지면 자꾸 껌을 찾게 된다”고 말했다.

니코틴 껌을 처음 씹을 땐 대개 빨리 씹게 되는데, 담배 생각이 가실 때까지 껌 하나를 30분 정도 오래 씹어야 한다. 씹던 중 턱이 아프면 한쪽 볼에 껌을 붙여 보관한다. 한국금연운동협의회장인 서홍관 국립암센터 교수는 “껌을 씹다 니코틴 물이 나오면 입에 머금고 쉬면서 니코틴이 구강 점막으로 충분히 흡수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니코틴 껌 적정량은 제조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하루 15알 미만이다. 명 교수는 “금단현상이 1시간마다 일어나니 잠을 자는 시간을 빼고선 10알 정도가 적당하다”며 “그 이상을 씹으면 두통, 속 울렁거림 등의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니코틴은 어차피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일시적”이라고 덧붙였다. 가슴 두근거림, 두통 등의 증상은 니코틴 껌을 씹지 않으면 몇 시간 후 사라진다. 니코틴 과다 흡수로 인한 증상 자체는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서 교수는 “니코틴 자체는 권할 게 아니지만, 니코틴 껌에는 순수 니코틴 성분만 들었기 때문에 담배와 비교하면 전혀 해롭지 않다”고 말했다. 또 “니코틴 껌은 모든 나라가 일반의약품으로 분류해 팔고 있는데, 이는 의사 처방 없이도 살 수 있다는 뜻으로 그만큼 안전성에 자신이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니코틴 껌은 니코틴 함유량에 따라 4㎎과 2㎎짜리가 있다. 담배를 하루에 한 갑 이상 피우던 사람은 4㎎, 이보다 적게 피우던 사람은 2㎎짜리를 선택하는 게 좋다. 4㎎ 니코틴 껌을 씹는 사람은 어느 정도 금연에 자신이 붙고서 2㎎짜리로 바꾼다.

니코틴 껌을 씹을 때는 절대 담배를 피워선 안 된다. 담배를 줄이면서 껌을 씹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면 니코틴이 체내에 과다하게 흡수될 수 있다.

확실한 금연을 원한다면 의료기관의 금연치료와 지역별 금연캠프의 도움을 받는 게 좋다. 금연치료 전문 의료기관의 금연 프로그램은 8주 혹은 12주간 평균 6회에 걸쳐 상담을 받고 금연치료의약품, 금연보조제를 투약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프로그램 3회 방문 때부터 본인 부담금을 전액 지원하고, 1~2회 치료비는 프로그램 이수 시 모두 돌려준다. 합숙형인 금연캠프는 스스로의 의지만으로는 금연하기 어려운 중증 흡연자에게 도움이 된다. 전국 17개 시·도(경기 2곳)에 설치된 지역금연지원센터는 4박5일간의 전문치료형 금연캠프와 1박2일의 일반지원형 금연캠프를 열고 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1-11 2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