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칼럼] 더민주 총선 결과가 궁금한 이유

[서동철 칼럼] 더민주 총선 결과가 궁금한 이유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1-06 23:08
업데이트 2016-01-07 0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연말 새정치민주연합이 더불어민주당으로 간판을 바꿔 달았을 때 주변 비슷한 또래의 반응은 한마디로 아리송하다는 것이었다. ‘처음처럼’을 비롯해 히트작을 여럿 내놓은 브랜드 네이밍 전문가를 홍보위원장으로 영입하더니 정당 이름도 소주 이름처럼 만들었다는 비아냥도 있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더불어민주당이라는 이름은 수긍할 만했다. 나아가 이름으로 장난을 쳤느냐는 지적조차 없지 않았던 더불어민주당의 줄임말 더민주는 좀 더 그럴듯하게 느껴졌다.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50대에게 더민주라는 당명이 그다지 흔쾌하지 않은 것은 어쩌면 자연스럽다. 하지만 총선을 목전에 두고 정치 세력에 대한 호불호(好不好)가 굳어 버린 세대의 취향에 굳이 아부해야 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젊은 세대의 감각에 부합하는 이름이 전략적으로 올바른 선택일 수 있다. 젊은 세대는 보수화의 경향이 짙다는 지적도 있지 않은가. 이름부터 반드시 잡아야 할 세대를 겨냥한 것은 광고용어로 소구대상(訴求對象·target)을 명확히 한 마케팅이다.

개명(改名)에도 불구하고 더민주의 정체성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과거 새정치민주연합을 구성하던 주요 세력이 이합집산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철수 의원 세력에 이어 김한길 의원 세력이 떠나가고, 호남 세력도 모두 탈당할 것으로 가정하면 더민주에는 문재인 대표가 오래전부터 실질적인 좌장 역할을 맡고 있는 이른바 친노(親)만 남는다. 몸집이 가벼워지는 것은 단점이지만, 순도(純度)가 높아지는 것은 장점이다.

정치는 생물(生物)이니 당장 내일이라도 정치 판도가 요동칠 수는 있다. 지금은 야당의 분열에 가속도가 붙고 있지만, 총선이 코앞에 닥치고 패배가 명약관화해지는 단계가 되면 결국 통합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전망하는 정치평론가도 적지 않다. 하지만 멀리 갈 것도 없이 복수의 야권 예비 후보가 명함을 돌리는 출근길 우리 동네 버스 정류장의 풍경만 봐도 시간이 흐를수록 다시 합치기는 어려워질 것으로 보는 것이 정상이다.

더민주에 남아야 할지, 떠나야 할지 친노 그룹이 아닌 구성원의 고심은 적지 않을 것이다. 정치적 소신을 함께하는 정당에 몸담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회의원에 당선되는 것은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안철수 의원이 당초 전망보다 더 큰 바람을 일으키고 있고, 김한길 의원마저 탈당하면서 이 바람은 더욱 확산하여 여권마저 긴장감을 느끼기 시작한 것이 현실이다. 문재인 대표는 지금 ‘이질적 요소’가 완전히 배제된 상황을 가정해 총선 전략을 짜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의석수는 적지 않게 줄어들겠지만, 순수혈통(純血) 친노만 남은 더민주의 모습을 그려 보면 매우 흥미롭다. 우선 호남 세력이 떠난 이후의 더민주는 명실상부하게 지역주의를 덜어 낸 제1야당이 된다. 우리 정치판에서 지역주의가 발호한 이후 여야를 모두 포함해도 이런 성격의 정당으로는 가장 큰 규모가 아닐까 한다. 반면 수도권을 세력권으로 하는 정당의 성격이 짙어지고, 국토의 절반 이상에서 공동화 현상이 빚어지는 한계도 없지는 않다.

진보 정당으로 더민주의 색채는 더욱 선명해질 것이다. 그동안 친노의 이미지는 독선과 아집으로 인상 지워졌다. 하지만 이념을 같이하지 않는 정치세력과 타협하지 않는다고 악(惡)은 아니다. 이들의 비타협 정신이 민주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혁혁한 공로를 세운 것도 인정해야 한다. 다만 타협을 모르는 세력이 양당 체제 아래서 한쪽의 당권을 잡았을 때 문제는 심각해진다. 국회 기능을 사실상 정지시켜 집권세력이 포부를 펼 수 없게 만드는 이즈음 정치 상황이 그렇다.

보수 새누리당, 중도진보 안철수 신당, 진보 더불어민주당이라는 스펙트럼은 나쁘지 않다. 새누리당은 국회선진화법을 넘어서려면 총선에서 180석 이상을 얻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하지만 때로는 정치적 타협이 가능한 야당의 원내 진입을 예상한다면 불필요한 희망이다. 총선에서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복원하고 진보적 목소리도 수용할 수 있는 ‘황금분할’이 이루어질지 지켜볼 일이다.
2016-01-07 31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