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16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심사평] 소재의 참신함에 현대 시조다운 제목 돋보여

[2016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심사평] 소재의 참신함에 현대 시조다운 제목 돋보여

입력 2015-12-31 16:50
업데이트 2015-12-31 2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조는 천년의 시인 동시에, 오늘의 시다. 그 양가성을 가능케 하는 것이 시조가 가진, 시조만의 정형미학이다. 시조는 형식에 ‘갇힌’ 게 아니라, 형식을 ‘갖춘’ 시다. 시조의 정형미학은 그 갇힘과 갖춤의 차이에서 출발한다.

심사위원 박기섭(왼쪽)·이근배 시조시인.
심사위원 박기섭(왼쪽)·이근배 시조시인.
올해는 양과 질 모두에서 기댓값 이상의 수확이다. 응모편수가 지난해에 비해 30% 이상 늘어난 데다, 작품의 성취도 또한 상승세가 뚜렷하다. 그간 하나의 경향성을 보였던 역사나 자연시편이 줄어든 대신, 명퇴나 비정규직 같은 당대 삶의 문제에 관심이 증폭된 것도 고무할 만한 일이다.

‘구운몽 여름’(박경희), ‘다시, 와온’(장은해), ‘봄, 난타’(강선희), ‘꽃비, 은비늘 입다’(고윤석), ‘구조조정’(정미경), ‘구름 위의 구두’(유순덕) 등이 마지막까지 각축을 벌였다. 역사현실에 충실한 박경희의 ‘구운몽 여름’은 놓치기 아까운 가작이다. 유배의 자취와 풍경을 결속하는 솜씨가 만만찮은 시력을 짐작게 한다. 그러나 주제의식을 부각하는 표현의 밀도 면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유순덕의 ‘구름 위의 구두’를 당선작으로 낙점한다. 소재의 참신함이 돋보이는 데다, 제목부터가 짐짓 현대시조답다. 청년실업이라는 우리 사회의 어두운 그늘을 정면에서 응시한다. ‘심 닳은 연필을’ 쥔 채 잠든 ‘청년’의 밤은 ‘소슬바람’에 ‘별자리가 휘고 있다’. 정황 묘사를 넘어서는 심리 묘사가 발군이다. 생존 현장에 직핍한 정서의 힘은 셋째 수에서 정점을 이룬다. 출근을 고대하며 ‘윤기 나게 닦은 구두’. 하지만 그 구두를 ‘구름 위에 올려놓을’ 수밖에 없는 암담한 현실이 ‘조간신문 행간에서 술빵 냄새’를 맡게 하는 것이다.

불과 얼음을 건너 우리 곁에 온 또 한 사람의 시인에겐 축하의 박수를, 혼신의 작품으로 신춘 무대를 빛낸 여러 잠재시인에겐 격려의 박수를 보낸다.

2016-01-01 3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