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정재왈 경희대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문화마당]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정재왈 경희대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입력 2015-12-30 17:58
업데이트 2015-12-30 18: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한 해의 끝자락에서 영화 ‘히말라야’를 봤다. 영화를 보면서 ‘숟가락’이란 단어를 떠올린 건 순전히 주연 배우 황정민 때문이었다. 황정민과 숟가락, 연유는 이랬다. 10년 전 거의 무명이었던 황정민은 영화 ‘너는 내 운명’으로 그해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한다. 지순한 사랑에 올인하는 시골 노총각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쳐 호평을 받았다. 일약 출세작이 된 것이다.

연기도 연기였지만 더 큰 감동은 그다음에 있었다. 수상 소감이 일품이었다. “잘 차려진 밥상에 숟가락만 올렸습니다.” 황정민은 눈물을 글썽이며 울고 있었다. 이때다 싶어 감사치레로 그간 도움을 준 사람들을 굴비 엮듯 호명하는 의례적인 수상 소감과는 확연히 달랐다. 영광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밥상을 차려 준 ‘숨은 공로자’에 대한 헌사를 통해 자신을 낮추는 겸양의 미덕을 보였다. 지금도 회자되는 수상 소감의 레전드다.

결정적 순간에 터져 나온 가식 없는 언사는 삶 자체가 그러질 않고는 감동이 따르지 않는다. 그 이전 대학로의 힘든 무명 세월을 알기에 나는 황정민답다는 생각을 했다. 날것 속의 진심이란 것을 알았다. 황정민은 1994년 소극장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의 초기 멤버로 데뷔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을 무대로 한 기층민들의 애환을 담은 드라마에서 그는 건달을 비롯해 1인 다역을 묵묵히 소화했다. 이젠 재즈 보컬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나윤선, 영화배우 방은진·설경구·조승우 등이 당시 이 무대에서 활동한 뒤 스타덤에 올랐다. 황정민은 이들보다 늦게 빛을 본 편이다.

다시 영화 이야기로 돌아온다. ‘히말라야’는 따뜻한 영화였다. 내가 아는 배우 황정민의 삶과 실제 모델이 된 인물(엄홍길)의 그것이 오버랩되면서 극 중 서사(敍事)와 잘 어울렸다. 얼마 전 만난 중견 여성 시인으로부터 신년 벽두에 발표될 모 신문 신춘문예 심사 소감을 들었다. “우리는 지금 심장이 죽은 시대에 살고 있어요.” 인간과 사회에 예민해야 할 요즘 문청(文靑)들의 시는 기교만 앞서지 따뜻한 가슴은 죽었다는 한탄이었다. 안타까움을 뒤로하고 본 ‘히말라야’는 큰 위로가 됐다. 무모하지만 숭고한 가치를 좇는 진짜 인간들의 뜨거운 심장이 거기에서는 팔딱팔딱 뛰고 있었다.

이제 숟가락 이야기를 더 해 본다. 어느 조사에서 올해 젊은이들이 꼽은 신조어 1위가 ‘금수저’와 ‘흙수저’라고 한다. 취업 공포에 내몰린 우리 청춘들의 암울한 미래에 대한 은유로 십분 이해하지만, 뒷맛은 씁쓸하다. 자발적인 개척 의지와 긍정적인 사회 변화의 가능성 대신 계층적 결정론에 매몰된 게 안쓰럽다. 이런 세태에 대한 일차적 책임은 기성세대의 몫이다. 그렇다고 청춘들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궁극적으로 미래는 청춘들의 것이기 때문이다.

1990년대 초 경제 호황기 사회 진출 세대의 한 사람으로서 ‘잘 차려진 밥상의 숟가락’ 같은 존재가 아닐까 가끔 자문하곤 한다. 아버지 세대의 피나는 노력으로 잘 차려진 밥상에 숟가락 하나 얹고 무임승차한 건 아닐까. 생각이 여기에 미치면 요즘 청춘들에게 미안한 생각도 든다. 하지만 영화 ‘히말라야’가 말하듯이 숨은 공로자 없는 성취는 불가능하다. 한 해를 정리하면서 청춘들에게 용기와 도전을 요청한다. 보기에 앞 세대가 아무리 못났더라도 긍정 마인드로 앞 세대를 딛고 힘차게 도약해 달라고. 금수저와 흙수저 처지는 앞으로 펼쳐질 오랜 인생길에서 무시로 바뀔 수 있는 사소한 것이란 점을 알아야 한다고. 부처님 말씀에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하지 않았는가 말이다.
2015-12-31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