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조지훈·전형필·최순우… 성북동에 둥지 튼 까닭은

조지훈·전형필·최순우… 성북동에 둥지 튼 까닭은

함혜리 기자
입력 2015-12-18 21:30
업데이트 2015-12-18 22: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북동 길에서 예술을 만나다/송지영·심지혜 지음/연두와파랑/270쪽/1만 4000원

이미지 확대
서울 성북동은 아름다운 풍광 덕분에 예부터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이곳에 둥지를 틀고 예술혼을 꽃피웠던 지식인과 예술인들은 얼마나 많던가.

‘성북동 길에서 예술을 만나다’는 우리나라 첫 시민문화유산인 최순우옛집의 두 학예사가 성북동과 인연을 맺고 그곳에서 살다 간 지난 시절 예술가들의 삶을 짚어 본 에세이다. 사재를 털어 외국에 팔려나간 문화재를 되찾아오고, 흩어지고 사라질 뻔한 문화재를 모아 최초의 사립미술관을 지은 간송 전형필, 우리의 문화와 아름다움을 찾고 알리는 일에 평생을 바친 혜곡 최순우, 모더니즘의 기수로 꼽히는 시인 김광균, 최초로 부부전을 열었던 운보 김기창과 우향 박래현은 서로 이웃해 살며 인연의 끈을 이었다.

해방 후 성북동에 한옥을 마련하고 시와 논문을 쓰며 제자를 키워 낸 조지훈은 한국전쟁 때 납북된 아버지가 혹시라도 돌아와 가족을 찾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성북동을 떠나지 않았다. 흰 두루마기를 입은 전형필 선생이, 단장을 짚은 조지훈 선생과 미풍 같은 미소를 짓는 최순우 선생이 길에서 만나 담소를 나누는 모습은 상상만 해도 정겹다.

시내와 인접하면서도 시골의 정취를 가진 성북동은 자연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푸근한 고향의 정취를 선사했다. 우리나라 수필문학의 백미로 꼽히는 ‘근원수필’을 쓴 김용준은 ‘노시산방’에서, 수필가 이태준은 ‘수연산방’에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천변풍경’을 쓴 박태원은 성북동 230의 싸리문집에서 평온하고 행복한 시절을 보냈다.

수화 김환기가 도자기를 어루만지며 달구경을 하던 곳, 마르지 않는 열정으로 생을 마치는 날까지 그림을 그렸던 화가 변종하가 살았던 곳도 성북동이다. 책은 윤이상과 채동선 등 음악인, 횡보 염상섭 등 문인, 윤중식 등 미술인도 소개하고 있다. 옛 사람들은 땅의 기운을 믿고 느꼈다. 지금의 시간과 공간은 그들이 살던 그때가 아니지만 볕이 좋은 날 성북동의 부드러운 언덕과 골목을 누비며 이들의 자취를 따라가 보면 그 말이 무슨 뜻인지 쉽게 알 수 있을 것 같다.

함혜리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lotus@seoul.co.kr
2015-12-19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