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음악 예술 자유 3중주를 만나다

음악 예술 자유 3중주를 만나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5-12-11 17:40
업데이트 2015-12-12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獨 작센 주 최대 도시 라이프치히

라이프치히 시내에 있는 성 니콜라이 교회에 이르렀을 때다. 현지 가이드가 난데없이 발아래를 가리켰다. 음악 기호 비슷한 상징물이 돌 위에 조각돼 있다. 이른바 ‘뮤직 트레일’이다. 바흐, 슈만, 멘델스존 등 라이프치히가 낳고 기른 음악가들이 활동한 장소란 걸 알리는 장치다. 바로 옆 작은 동판에는 ‘1989년 10월 9일’이란 글씨와 십수개의 발자국이 새겨져 있다. 바로 이 자리에서 평화혁명이 시작됐고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단초로 이어졌다는 걸 기념하는 상징물이다. 이 두 상징물이 라이프치히를 이해하는 키워드다.

이미지 확대
라이프치히 광장에서 열리고 있는 크리스마스 마켓.
라이프치히 광장에서 열리고 있는 크리스마스 마켓.


이미지 확대
성 토마스 교회 내부의 바흐 묘.
성 토마스 교회 내부의 바흐 묘.


이미지 확대
성 니콜라이 교회 앞의 ‘뮤직 트레일’ 표지판. 라이프치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닥 표지로, 음악가와 관련된 유적이 있다는 표시다.
성 니콜라이 교회 앞의 ‘뮤직 트레일’ 표지판. 라이프치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닥 표지로, 음악가와 관련된 유적이 있다는 표시다.


이미지 확대
괴테가 소설 ‘파우스트’의 영감을 얻었다는 레스토랑 입구.
괴테가 소설 ‘파우스트’의 영감을 얻었다는 레스토랑 입구.


이미지 확대
2층 건물 높이의 도자 작품. 유럽에서 가장 먼저 도자기를 만들었다는 마이센의 공장 안쪽에 전시돼 있다.
2층 건물 높이의 도자 작품. 유럽에서 가장 먼저 도자기를 만들었다는 마이센의 공장 안쪽에 전시돼 있다.
라이프치히로 넘어가기 전에 마이센 이야기부터 한 자락. 소도시 이름이자 도자기 회사 이름이기도 한 마이센은 유럽에서 가장 먼저 도자기를 만든 곳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드레스덴 구시가의 타일 벽화 ‘군주의 행렬’을 제작했던 바로 그 업체다. 현재도 세계 최고가의 도자기를 생산하고 있다.

●바흐·슈만·멘델스존 등 유명 음악가 활동한 곳

볼거리도 없는 마이센을 굳이 들추는 이유는 유럽의 도자기 발달 과정에 한국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16세기 말 중국의 오채자기가 들어오자 유럽 왕실과 귀족들은 ‘동양의 하얀 황금’이라고 부르며 반겼다. 그런데 전란으로 오채자기 도요지가 파괴됐고, 이어 일본 아리타 자기의 인기가 급상승했다. 아리타 자기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에 납치된 이삼평 등 조선의 도공들이 조선 백자를 재현한 것이다. 당시 작센 왕 아우구스트 2세는 자국에서 아리타 자기 생산 계획을 세웠고, 이를 관철했다. 조선 백자가 일본으로 건너가 아리타 자기의 모태가 되고, 다시 마이센 자기에까지 영향을 줬던 셈이다.

작센 주 최대 도시인 라이프치히는 음악의 도시다. 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음악가들을 수없이 배출했다. 중세 때부터 교통의 요충지이자 상업도시였으니 돈이 풍성했을 것이고, 이는 예술과 문화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됐을 터다. 라이프치히가 길러낸 대표적인 인물로는 ‘음악의 아버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꼽힌다. 독일 내 여러 도시를 전전하다 라이프치히로 이주한 바흐는 이때부터 예술가로서 가장 왕성한 활동을 펼친다.

바흐의 음악적 기반이 된 곳은 라이프치히 시내의 성 토마스 교회였다. 교회 성가대를 이끄는 한편 오르간 연주자로도 활동한 그는 죽는 날까지 라이프치히에 머물며 마태수난곡 등 300여곡에 이르는 종교음악을 작곡했다. 바흐는 지금도 성 토마스 교회 제단 아래 묻혀 있다.

사육제 등을 작곡한 로베르트 슈만과 그의 아내 클라라의 사랑 이야기는 음악사에서 전설처럼 전해 온다. 둘은 사회적 위상이 많이 달랐다. 클라라는 슈만보다 아홉 살 어렸지만, 슈만이 엄두도 내기 어려울 정도로 유명한 피아니스트였다. 독일이 유로화를 쓰기 전 100마르크 지폐에 그의 얼굴을 새겼을 정도다. 게다가 미모도 빼어났다. 이런 재원을 미래가 불투명한 젊은이에게 시집 보낼 아버지는 없다. 당연히 클라라 아버지의 불 같은 반대에 부딪혔고, 여러 어려운 과정을 거쳐 결혼에 성공했다.

둘의 결혼 생활은 슈만이 46세로 요절하면서 16년 만에 끝난다. 이때 등장하는 이가 23세의 청년 요하네스 브람스다. 슈만의 제자였던 브람스는 클라라보다 열네 살이나 어렸다. 게다가 클라라는 일곱 아이들이 ‘딸린’ 처지였다. 이후 브람스와 클라라, 그리고 일곱 아이들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가족 같은 사이가 됐다고 한다. 브람스는 클라라와 만난 이후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플라토닉한 사랑을 나눴다는 얘기다. 무려 41년 동안을. 라이프치히 시내 외곽에 슈만 박물관이 있다. 슈만과 클라라 부부가 1840년 결혼해 살았던 아파트를 개조해 조성했다.

●베를린 장벽 무너진 단초 제공 ‘성 니콜라이 교회’

우리가 서울 중심부를 흔히 ‘4대문 안’이라고 부르듯 라이프치히에서도 ‘성 안’이라는 용어가 통용된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오래전 성벽이 둘러쳐져 있던 지역을 일컫는 말이다. 성 안쪽엔 관공서와 종교 시설 등이 몰려 있기 마련이다. 성 토마스 교회, 성 니콜라이 교회 등 관광 명소들도 이 지역에 밀집돼 있고, 크리스마스 마켓 또한 이 일대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그 가운데 1165년 세워진 성 니콜라이 교회는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데 단초가 된 평화혁명이 일어난 현장이다. 1980년대 초, 월요일만 되면 교회 앞에서 공산주의 정권에 대항하는 작은 기도회가 열렸다. 애초 소수의 기독교인들이 모이던 기도회는 라이프치히 이외 지역으로 번졌고, 참가자도 일반인으로 확대됐다. 집회의 성격도 독일 통일 운동으로 변모했다. 그러다 1989년 10월 9일 7만명이나 되는 대규모 시위대로 발전하게 됐다. 당시를 기념하는 동판이 바닥에 새겨져 있다.

독일의 문호 괴테를 빼고 라이프치히를 말할 수 없다. 그가 역작 ‘파우스트’를 구상한 곳이 바로 라이프치히니 말이다. 당시 라이프치히 대학에 재학 중이던 괴테는 공부 외에 한량짓을 하는데도 ‘수재’ 소리를 들었던 모양이다. 이름난 식당들을 전전하며 생활했는데 그중 하나가 ‘아우어바흐 켈러’ 레스토랑이다. 1525년에 문을 연 식당으로, 훗날 ‘파우스트’의 무대가 된다. ‘아우어바흐 켈러’는 지하에 있다. 입구는 두 곳. 각각의 입구엔 조각상이 세워져 있다. ‘파우스트’의 등장인물들이다. 식당 안은 넓고 세련됐다. 벽면엔 ‘파우스트’의 장면들이 그려져 있다. 음식의 맛은? 글쎄. 전통 음식은 가급적 피하는 게 낫겠다.

글 사진 라이프치히(독일)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12-12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