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론] 한국 정치, 유머 감각을 배워라/김종회 문학평론가·경희대 국문과 교수

[시론] 한국 정치, 유머 감각을 배워라/김종회 문학평론가·경희대 국문과 교수

입력 2015-12-07 17:58
업데이트 2015-12-08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8대 대통령 선거전이 한창이던 2012년 9월 8일 지방 강연이 있어 부산으로 가는 첫 항공기를 탔다. 마침 같은 편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후보가 탔다. 대학 후배로서의 면식으로 반갑게 인사를 했다. 문 후보는 부산의 당내 경선에 가는 길이었으나, 당시의 대세는 그가 야당 후보가 되는 것이 기정사실이었다. 공교롭게도 그날 한 일간지에 필자가 쓴 칼럼의 제목이 ‘대통령 후보, 창의적 유머를 보여라’였다. 신문은 항공기에 실려 있었고, 필자는 그 신문을 달라고 해서 문 후보에게 건네주었다. 그는 읽어 보겠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김종회 문학평론가·경희대 국문과 교수
김종회 문학평론가·경희대 국문과 교수
칼럼은 세 가지 예화를 담고 있었다. 미국 대선에서 불리한 판세를 뒤엎은 기지와 재치를 말하는 두 개의 이야기는 루스벨트와 레이건의 선거운동에 관한 것이었다. 그리고 백악관이 매우 당혹스러운 대민 관계를 발전적으로 넘어선 하나의 이야기는 조지 부시의 언어 표현에 관한 것이었다. 문 후보가 이런 선례들을 숙려해 보았으면 어땠을까. 보다 여유 있는 태도로 상대방을 배려하면서 선거를 치렀다면 판세가 달라질 수도 있지 않았을까.

지금의 여야 대치 정국을 보면 어느 누구에게서도 여유 있는 유머 감각을 찾아볼 수 없다. 상대방을 비판할 때는 생전 다시 안 볼 것처럼 사생결단의 언어를 쏟아낸다. 정치는 사람의 마음을 얻자는 것이다. 마음을 지키는 것은 강압적이고 매몰찬 언어, 태도, 행위로는 불가능하다. 봄바람이 한없이 부드러워도 그 가운데는 모든 생명의 복권을 촉발하는 확고한 힘이 숨어 있다. 우리 정치 지도자들은 한 해의 경점(更點)을 넘어가는 지금 참으로 심각하게 정치적 언어의 유머 감각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 방면에 수완이 있던 서양 국가원수 몇 사람의 예를 들어 보자. 딱딱한 이미지가 강한 ‘철의 여인’ 대처 영국 총리가 600명이 모인 만찬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홰를 치며 우는 건 수탉일지 몰라도 알을 낳는 건 암탉입니다.” 이 간략한 코멘트의 능력이 남성 중심의 보수적인 영국 사회에서 대처를 뛰어난 정치가로 만들었다. 자기 주장이 강한 드골 프랑스 대통령에게 정치 성향이 전혀 다른 한 의원이 말했다. “각하, 제 친구들은 각하의 정책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습니다.” 그러자 드골이 응수했다. “아, 그래요? 그럼 친구를 바꿔 보세요.” 이의(異議)를 제기한 상대를 부드럽게 압도하는 유머다.

미국 대통령 링컨에게 에드윈 스탠턴이란 정적(政敵)이 있었다. 스탠턴은 저명한 변호사였고, 변호사 시절의 링컨을 시골뜨기라 무시하고 모욕했다. 세월이 흘러 대통령이 된 링컨은 그를 육군 장관으로 불렀다. 참모들이 “원수를 없애 버려야 하지 않느냐”며 만류했다. 스탠턴은 링컨의 당선을 ‘국가적 재난’이라고 공격했던 것이다. 링컨은 이렇게 참모들을 설득했다. “원수 맞아요. 원수를 마음에서 없애 버려야지요. 그는 능력 있고 사명감이 투철한 사람입니다.” 스탠턴은 남북전쟁 때 북군의 모든 군사조직을 통괄했다. 링컨이 암살당했을 때 링컨을 부둥켜안고 가장 많이 통곡한 사람이 스탠턴이었다.

이와 같은 여유와 배려, 국면을 전환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정치적 유머 감각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맡은 일에 대한 분명한 사명감, 그것을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하나 더 있다. 이는 어쩌면 생래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닐까. 그런데 유머를 통해 관계성을 유화할 수 있는 자질이 부족하다면 후천적으로 이를 습득하기 위해 애쓰는 수고라도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유머 감각이 없이는 지도자 될 꿈을 꾸지 말라’는 서구 속언이 가볍게 보이지 않는다. 그렇게 보면 박근혜 대통령이 ’썰렁한‘ 유머를 수첩에 적어 갖고 다니는 것도 높이 살 만하다.

우리 정치에서는 정치행위만 있고 정치의식이나 정치문화는 찾아보기 어렵다. 자연히 상생을 꾀하는 참신한 아이디어, 격조 있는 관계 설정의 모형도 드물다. 애쓰고 수고하는 노력이 답이다. 왜 보지 않았는가. 비록 사회적 여론에 밀렸기 때문이지만 지난 5일의 2차 도심 집회가 평화시위와 준법보장으로 큰 충돌 없이 끝날 수 있었던 것을. 일부이지만 저항의 놀이화 현상도 있었다. 어쩌면 시위문화의 새로운 기로가 될지도 모른다. 그러고 보면 기실 여유와 유머 또한 규정과 약속을 지키는 토양이 튼튼할 때 밝게 피어나는 꽃이라 할 수 있겠다.
2015-12-08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