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맞벌이 남편은 ‘베짱이’

맞벌이 남편은 ‘베짱이’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5-12-07 23:36
업데이트 2015-12-08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루 40분 ‘집안일’ 5년 새 3분 늘어… 홑벌이 남편은 47분

지난해 맞벌이 부부가 10가구 중 4가구인 가운데 맞벌이 남편이 홑벌이 남편보다 집안일을 더 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사는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의견이 절반에 육박해 ‘생각 따로 행동 따로’인 이중적 태도를 드러냈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은 7일 이런 내용의 ‘2015년 일·가정 양립 지표’를 발표했다. 지난해 맞벌이 가구는 518만 6000가구로 ‘유(有)배우 가구’의 43.9%를 차지했다. 2013년(42.9%) 대비 1.0% 포인트 증가했다.

맞벌이 가구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남편의 가사 노동 분담은 ‘제자리걸음’이었다. 오히려 전업주부와 함께 사는 홑벌이 남편이 맞벌이 남편보다 가사 분담이 조금 더 많았다. 홑벌이 남편의 지난해 가사 노동 시간은 47분(하루 기준)으로 맞벌이 남편(40분)보다 7분 길었다. 맞벌이 남편의 가사 노동 시간은 5년 전인 2009년(37분)보다 고작 3분 증가했다.

윤연옥 통계청 사회통계기획과장은 “맞벌이 가구 중 일부는 집안일에 가사도우미를 이용하고 있어 맞벌이 남편의 가사 노동 시간이 홑벌이 남편보다 짧은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맞벌이 부부의 관심사가 집안일보다는 회사 업무나 각자의 취미 등에 맞춰져 있는 것도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맞벌이 아내는 하루 중 3시간 14분을 가사 노동에 썼다. 5년 전보다 6분 감소했다. 전업주부의 가사 노동 시간은 6시간 16분으로 2009년 대비 2분 줄었다.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의견은 47.5%였다. 2006년 32.4%, 2010년 36.8%, 2012년 45.3% 등에 비해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다. 반면 실제로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는 남편은 16.4%, 부인은 16.0%로 행동과 생각 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우리나라 남성의 가사 노동 시간은 선진국에 견줘 턱없이 짧았다. 맞벌이와 홑벌이를 합친 한국 남성의 가사 노동 시간은 45분(2009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적었다. 인도(52분)와 일본(62분)보다도 짧았다. 홍승아 여성정책연구원 박사는 “맞벌이 부부 사이에서도 역할 분담이 안 되고 있다는 증거”라면서 “남성들이 장시간 노동을 강요받으면서 가정에 투자할 시간이 없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기혼여성(15~54세) 취업자는 560만 500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직장을 그만둔 경험이 있는 ‘경력단절여성’(경단녀)은 253만 8000명(45.3%)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53.1%로 가장 많았다. 40~49세(29.8%), 15~29세(8.6%), 50~54세(8.5%) 순이었다.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는 2013년보다 10.4% 증가했다. 특히 육아휴직 사용자 10명 중 6명은 휴직 종료 후에도 동일 사업장으로 복귀했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12-08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